서브메뉴
검색
왜 국가인가 : 근대 국가와 정치혁명
왜 국가인가 : 근대 국가와 정치혁명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8941759 04300 : \16,000
- ISBN
- 9791188941728(세트)
- DDC
- 320.1-20
- 청구기호
- 320.1 이18ㅇ
- 저자명
- 이기라 , 1972-
- 서명/저자
- 왜 국가인가 : 근대 국가와 정치혁명 / 이기라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소소의책, 2022
- 형태사항
- 249 p., [1]장 (접지) ; 21 cm
- 총서명
-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우리가 사는 세계(Humanitas college, Kyung Hee University) the world we live in.Politics
- 일반주제명
- 국가(나라)[國家]
- 일반주제명
- 정치 철학[政治哲學]
- 일반주제명
- 정치 사상[政治思想]
- 통일총서명
-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우리가 사는 세계
- 통일총서명
- 우리가 사는 세계
- 통일총서명
- Humanitas college, Kyung Hee University the world we live in
- 통일총서명
- Humanitas college, Kyung Hee University the world we live in : Politics
- 통일총서명
- The world we live in
- 통일총서명
- The world we live in : Politics
- 가격
- \16,000
- Control Number
- joongbu:608729
- 책소개
-
‘이게 나라냐’가 촉발한 국가의 존재 이유와 역할
근대 국가의 한계를 분석하고 민주주의의 미래를 내다본다
인간은 고대부터 다양한 정치적 질서를 만들고 변화시켜왔다. 그중에서 민주주의는 근·현대 세계를 특징짓는 정치제도로, 고대 아테네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그들은 이런 정치 질서를 어떻게 ‘발명’했을까? 오늘날 우리가 ‘국가’라고 부르는 정치공동체는 왜 존재하고 그 역할은 무엇이며 국가가 지켜야 할 중요한 원칙은 무엇일까? 중세 말 이후 유럽에서 등장한 근대 국가는 공공의 질서를 보장하고 생명과 자유를 포함한 개인의 소유권과 시민권을 보호하는 역할을 위임받았다. 하지만 그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면서 갈등과 분열로 대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이 책은 근대를 대표하는 정치사상가의 저작과 이론을 속속들이 살펴보면서 근대 국가의 형성 과정과 시민혁명의 주요 쟁점, 그리고 최근의 국내외적인 상황에서 빚어지는 정치적 상황을 아우르고 한계에 부딪힌 서양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새로운 정치공동체로 나아가는 방안은 무엇인지 함께 고민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