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법학글쓰기
법학글쓰기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30341446 93360 : \17,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 DDC
- 808.06634-20
- 청구기호
- 808.06634 정74ㅂ이
- 저자명
- 정전량
- 서명/저자
- 법학글쓰기 / 井田良 ; 佐渡島紗織 ; 山野目章夫 공저 ; 이정민 ; 장성숙 공역
- 기타표제
- [원표제]法を學ぶ人のための文章作法 = Writing strategies for those studying Law
- 발행사항
- 서울 : 박영사, 2022
- 형태사항
- 243 p. ; 23 cm
- 일반주제명
- 문장작법
- 일반주제명
- 문서작성
- 일반주제명
- 법률문체
- 기타저자
- 좌도도사직
- 기타저자
- 산야목장부
- 기타저자
- 이정민
- 기타저자
- 장성숙
- 기타저자
- 이다 마코토
- 기타저자
- 사도시마 사오리
- 기타저자
- 야마노메 아키오
- 기타서명
- 법오학부인노타메문장작법
- 가격
- \17,000
- Control Number
- joongbu:608350
- 책소개
-
연구년에 일본 츄오대학 방문 준교수(日本中央大?訪問准?授)로서 초대를 받고, 우연히 법학과 어학이 어우러진 이 책을 만나게 된 것은 큰 행운이었습니다. 신입생이나 재학생에게 늘 받던 질문이 “법학 답안 어떻게 쓰면 A+ 받을 수 있나요?”라는 것이었고, 시험 전에 잠시 시간을 내어 설명하기도 했지만, 막상 학생들의 답안지를 보면, 체계와 내용적인 면에서 문제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딴 이야기를 하는 학생들이 많아서 보다 근본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한편 어떤 학생들은 쟁점과 상관없이 짜여진 틀에 맞추어 답안을 작성하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틀렸다고는 할 수 없지만, 무조건 “구성요건해당성, 위법성, 책임”을 쭉 나열하는 식의 답안입니다.
이 책을 보는 순간, ‘법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답안이나 리포트 작성 방법까지 알려줄 수 있는 책이다’라는 생각이 들어, 이다(井田) 교수님께 한국어판 제작에 대해 의논하였더니 흔쾌히 허락해 주셨고, 출판사와도 계약이 빨리 성사되어, 즐거운 마음으로 번역했습니다.
번역서이지만 학습서 역할을 하는 이 책은 저자의 허락을 받고 의역된 부분이 있습니다. 일본 고유지명 및 인명 등 학습에 방해가 된다면 과감히 생략하고, 우리나라 법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은 우리나라 법을 적용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예를 들어 참의원·중의원 부분 등)은 그대로 번역하였습니다. 이렇게 번역한 이유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책을 만들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즉, 학생들이 법학글쓰기에 조금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