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가전제품 광고로 보는 주방문화의 변천
가전제품 광고로 보는 주방문화의 변천 / 김병희 저
내용보기
가전제품 광고로 보는 주방문화의 변천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99726620 03320 : \23,000
DDC  
659.1-20
청구기호  
659.1 김44가
서명/저자  
가전제품 광고로 보는 주방문화의 변천 / 김병희 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22
형태사항  
459 p. : 삽화 ; 24 cm
주기사항  
Identifying the transition of kitchen culture through home appliance advertising
주기사항  
찾아보기: p. 455-459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43-453
기금정보  
이 저서는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키워드  
광고 가전제품 주방문화 생활문화사
기타저자  
김병희
기타저자  
Kim, Byoung Hee
가격  
\23,000
Control Number  
joongbu:608201
책소개  
제1장 ‘주방문화와 가전제품’에서는 문제를 제기하는 차원에서 책 집필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주방문화의 변천, 소비사회와 소비문화의 특성, 광고와 소비문화의 관련 양상에 대해 두루 살펴보았다.

제2장 ‘연구방법’에서는 광고에 대한 미시사적 접근방법의 가치를 검토하고 연구 범위와 분석 내용을 소개했다. 그리고 제품범주에 따른 공시적(synchronic) 분석 차원에서, 저장용 가전제품, 조리용 가전제품, 세척청소용 가전제품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시대 흐름에 따른 통시적(diachronic) 분석 차원에서는 한국 소비문화의 태동기인 1960년대부터 소비문화의 스마트화기인 2010년대에 이르기까지 가전제품의 변화 추이를 10년 주기로 소개했다.

제3장 ‘저장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에서는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냉장고 광고의 흐름과 김치냉장고 광고의 흐름을 톺아보았다. 제4장 ‘조리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에서는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밥솥과 밥통 광고의 흐름, 오븐과 그릴 및 인덕션 광고의 흐름, 토스터 광고의 흐름, 에어프라이어 광고의 흐름을 세세히 분석했다. 제5장 ‘세척청소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에서는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세탁기 광고의 흐름과 청소기 광고의 흐름을 두루 살펴보았다. 마지막의 제6장 ‘결론 및 논의’에서는 저술 내용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가전제품 광고가 주방문화의 변천에 미친 영향을 이론적 실무적 맥락에서 논의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346371 659.1 김44가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46372 659.1 김44가 c.2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