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2146, 529 :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노동자의 죽음
2146, 529 :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노동자의 죽음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97237287 03810 : \11,000
- DDC
- 363.11-20
- 청구기호
- 363.11 노25ㅇ
- 단체저자
- 노동건강연대
- 서명/저자
- 2146, 529 :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노동자의 죽음 / 노동건강연대 기획 ; 이현 정리
- 발행사항
- 고성군 : 온다, 2022.
- 형태사항
- 207 p. ; 21 cm.
- 기타저자
- 이현
- 기타서명
- 이천백사십육, 오백이십구
- 기타서명
- 이일사육, 오이구
- 가격
- \11,000
- Control Number
- joongbu:606811
- 책소개
-
산재사고의 장면들 속으로 들어가 그 현장감을 직접 느끼기란 쉽지 않다. 다만 이 사고가 특정의 노동자가 겪은 ‘타인의 비극’이 아님은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 사고는 “어떤 이에게 어쩔 수 없이 일어난 단편적인 비극”(190면)이 아니다. 이 사회가 시민 각각에게 안정된 삶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누구든 언제든 삶의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사고들은 바로 나 자신과 내 가족이 당장 내일 겪을 수 있는 일반적이고도 보편적인 사고다. 그러므로 우리는 시선을 저 먼 곳이 아닌 나 자신에게 돌려야 한다. 이런 시각을 갖출 때에야 비로소 우리는 슬픔에 공감하면서도 절망보다는 희망의 편에 설 수 있고, 결국에는 ‘사회적 기억’을 완성할 수 있다.
이 책을 이루는 건조한 문장을 읽을 때마다 슬픔을 느끼는 이가 있다면 그것은 그이의 감성이 특별히 풍부해서가 아니다. 그보다는 ‘2146, 529’라는 숫자에 담긴 한국의 노동 현실과 일하는 사람들의 삶이 자신과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체감하는 경로에 그이가 들어섰기 때문일 것이다. 슬퍼하면서도 우리는 ‘2146, 529’라는 숫자에 담긴 일들이 사회적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도록 이 책에 보관하기로 한다. 숫자로 가려진 숱한 이야기들이 있다는 사실을 이곳에 두기로 한다. 애도는 절망보다 희망과 나란히 있으려는 관성을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