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복지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한국 복지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56254241 93330 : \22,000
- DDC
- 361.61-20
- 청구기호
- 361.650951 김64ㅎ
- 저자명
- 김영순
- 서명/저자
- 한국 복지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김영순 지음
- 기타표제
- [기타표제]민주화 이후 복지정치와 복지정책
- 발행사항
- 서울 : 학고재, 2021
- 형태사항
- 411 p. : 삽화, 도표 ; 23 cm
- 주기사항
- 참고문헌(p. 384-404)과 찾아보기(p. 405-410) 수록
- 기금정보
- 이 저서는 2016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A6A4A01019213)
- 일반주제명
- 사회 복지[社會福祉]
- 일반주제명
- 복지 국가[福祉國家]
- 주제명-지명
- 한국(국명)[韓國]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22,000
- Control Number
- joongbu:606311
- 책소개
-
『한국 복지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졌나?』민주화 이후 복지정치와 복지정책
발전과 저발전 사이의 한국 복지국가를 해명하다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각 정부는 계속해서 복지 프로그램들을 도입하고 확대해왔다. 그 결과 한국의 GDP 대비 복지지출은 1990년 3.1%에서 2019년 12.2%로 약 4.7배나 증대했다. 물론 한국의 복지국가는 경제발전 수준에 비해 여전히 작다. 또 여러 가지 질적 결함을 갖고 있다. 그러나 적어도 외형상으로는, 세계사적으로 유례없이 빠른 경제성장에 대응하는 유례없이 빠른 복지팽창이 이루어진 것도 사실이다.
이 책에서는 이런 한국 복지국가의 발전, 무복지 상태에서 작은 복지국가로의 진화를 해명한다. 민주화 이후 주요 복지 프로그램의 도입 혹은 개혁 사례에 나타난 복지정치, 즉 다양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와 선호, 그들이 보유한 권력자원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행위자들 간 역동적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복지국가를 만들어 온 힘은 무엇이며 그것이 복지국가의 성격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