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 Material Type
- 단행본
- ISBN
- 9791158139360 93550 : \24,000
- DDC
- 629.254-20
- Callnumber
- 629.254 김64ㅎ
- Author
- 김영일
- Title/Author
-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 김영일 ; 오만진 ; 이정환 공저
- Publish Info
- 서울 : 구민사, 2021
- Material Info
- 268 p. : 삽화 ; 26 cm
- General Note
- Hybrid electric vehicle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전기 자동차[電氣自動車]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하이브리드[hybrid]
- Added Entry-Personal Name
- 오만진
- Added Entry-Personal Name
- 이정환
- Price Info
- \24,000
- Control Number
- joongbu:605576
- 책소개
-
간편하고 효율적인 이동수단을 추구하던 인류가 굴대로부터 바퀴를 발명한 것이 약6,000년 전으로, 이때는 자체적인 힘으로 달리는 자동차를 만들려는 시도가 인간의 커다란 꿈이었다. 하지만 기술 발달이 미약하여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쳤고, ‘자동차’ 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17세기 중반 증기기관이 실용화되면서부터 만들어졌다.
1779년 프랑스의 N. 퀴뇨가 제작한 증기자동차는 역사상 처음으로 기계의 힘에 의해 주행한 차로 이것이 최초의 자동차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후로 자동차는 끊임없이 개발되었지만 실용적인 진정한 이동 수단으로서의 자동차는 1886년에 만들어진 독일의 칼 벤츠에 의해 제작된 페이턴트 모터바겐(patent motor wagen)이다. 이 자동차는 최초의 휘발유 자동차였으며 출력이 약 0.9마력이었다. 약 130여년이 지난 지금은 출력이 1,000마력이 넘는 자동차가 등장하기에 이르렀으며 인간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자동차의 탄생은 인적자원 및 물자의 신속한 수송에 의한 산업발전에 이바지하였을뿐 아니라 자원 개발을 용이하게 하여 경제개발에도 도움이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지구 온난화와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석유자원의 고갈 등이 글로벌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각국 정부와 자동차업계는 친환경자동차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친환경자동차로는 연료전지자동차,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 천연가스자동차, 클린디젤자동차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대다수의 친환경자동차가 아직 충전 인프라 구축의 미흡과 충전시간, 주행거리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은 것이 현실이지만,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과 모터의 장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친환경자동차에 비해 가장 현실적인 동력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일본의 도요타자동차는 1997년에 세계 최초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인 1세대 프리우스를 출시한 이후 최근 수년간 연간 100만 대 이상을 판매해 왔고, 최근 글로벌 시장 누적 판매 대수가 700만 대를 돌파했다. 초기에는 소형 승용차에 국한되었지만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여졌고 소비자의 욕구 충족을 위해 대형차 및 SUV를 비롯한 최고급 스포츠카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현재 가장 현실적인 친환경자동차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자동차의 역사를 비롯한 내연기관과 전기에 대하여 구성하였으며 이 책이 자동차를 공부하는 공학도뿐만 아니라 자동차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