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법무보호복지학개론
법무보호복지학개론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30340388 93360 : \20,000
- DDC
- 361.3-20
- 청구기호
- 364.63 법36버
- 단체저자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 서명/저자
- 법무보호복지학개론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박영사, 2022
- 형태사항
- vii, 338 p. : 삽화, 도표 ; 25 cm
- 일반주제명
- 교정 복지[矯正福祉]
- 일반주제명
- 갱생 보호[更生保護]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joongbu:605397
- 책소개
-
우리는 매일 각종 언론 매체를 통해 크고 작은 범죄 소식을 접하고 있습니다. 범죄는 우리 사회의 안전망에 대한 불신을 야기하고, 공동체의 결속력을 저해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범죄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감과 피로도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각종 범죄의 상당수가 범죄 경력자에 의한 재범으로서, 범죄 문제는 곧 재범의 문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법무보호복지사업은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처벌 이후에 어떻게 하면 다시금 죄를 짓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회에 복귀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법무보호복지사업의 목적은 처벌과 감시가 아닌 전문적인 복지 서비스 제공을 통해 범죄 경력자들이 올바른 삶을 살아가도록 지도하고 보살피며 도움으로써, 건전한 사회복귀를 촉진하고 개인 및 공공의 복지를 증진함과 아울러 사회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국내 법무보호복지사업은 법무부 산하의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수행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오랜 역사에 비해 법무보호복지사업에 대한 국민적 인지도나 학계의 관심은 여전히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고 법무보호복지사업의 학문적 기초를 구축하기 위하여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현장 중심의 경험과 전문적인 이론을 동시에 담기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실무자를 중심으로 편찬 TF를 구성하였고, 자문교수단을 위촉하여 내용의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책의 구성은 총 4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편에서는 법무보호복지의 개념, 목적과 기능, 역사 등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고, 제2편에서는 형사사법체계 내에서 범죄자의 처우과정과 범죄원인이론을, 제3편에서는 출소자 등을 지원하는 법무보호복지의 지원체계, 제4편은 법무보호복지의 확대와 미래 패러다임을 제시하기 위한 내용들을 수록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이 책이 법무보호복지 학술 연구 분야의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법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교정복지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어 미래의 범죄예방 전문가 양성에도 도움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아울러 자원봉사자 및 대국민 인식개선 교육 자료로도 활용되어 법무보호복지사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이해가 깊어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