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도전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도전 / 국민호 지음
내용보기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도전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8497353 93300 : \21,000
DDC  
338.95-20
청구기호  
330.95 국38ㄷ
저자명  
국민호
서명/저자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도전 / 국민호 지음
기타표제  
[기타표제]서구 자본주의 시장 경제가 제3세계 경제발전의 유일한 대안인가?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형태사항  
422 p. ; 23 cm
주기사항  
2021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주기사항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서지주기  
참고문헌(p. 402-415) 및 찾아보기(p. 416-422) 수록
일반주제명  
동아시아 경제[東--經濟]
일반주제명  
자본 주의 경제[資本主義經濟]
전자적 위치 및 접속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가격  
\21,000
Control Number  
joongbu:601168
책소개  
아나톨칼레츠키는 2011년에 펴낸 책 『자본주의 4.0』에서 자본주의는 역사상 4번의 큰 변화를 겪었다고 말한다. 1기는 영국이 나폴레옹에게 승리를 거둔 1815년부터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고전적 자본주의 시기, 2기는 1945년부터 1970년까지의 자본주의 황금기, 3기는 대처ㆍ레이건의 신자유주의 개혁이 일어난 1980년부터 신자유주의의 위기가 극대화된 2006년까지의 시기, 그리고 마지막 4기는 2007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의 시기이다. 각 시기를 결정짓는 것은 국가와 시장과의 관계다. 1기에서 국가와 별개의 영역이었고, 2기에서는 자애로운 국가에 대한 낭만적인 믿음과 의존의 시기였고, 3기는 시장에 대한 절대적 믿음과 국가에 대한 불신의 시기였다. 이제 시작된 4기는 국가와 시장의 공생 시기로 설명된다.
서구에서 자본주의가 발전하기 전에 이미 중상주의를 거침으로써 서구 국가들은 자본주의 성립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후에 서구 자본주의는 국가의 역할을 과소평가하고 시장의 역할을 강조해왔다. 이런 서구 자본주의 시장경제 이론에 충실하여 시장의 역할에만 의존한 어느 비서구 국가도 선진국 대열에 동참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과 경쟁하면서 선진국 대열에 동참하고 있는 비서구 나라들은 동아시아 국가들뿐이다. 이들은 유교 문화적 전통 속에서 국가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국가 주도로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였다. 이 책은 이들 동아시아 국가들이 어떻게 서구 자본주의에 도전하여 고도 경제성장을 이루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본주의 4.0에서 예견하듯이 차후 자본주의 발전에는 국가와 시장의 더욱 긴말한 협조가 필요해질 것이다. 우리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험에서 효율적인 국가와 시장과의 관계 모델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343236 330.95 국38ㄷ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43237 330.95 국38ㄷ c.2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48215 330.95 국38ㄷ c.3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48216 330.95 국38ㄷ c.4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