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식탁 위의 중국사 : 한 상 가득 펼쳐낸 오천 년 미식의 역사
식탁 위의 중국사 : 한 상 가득 펼쳐낸 오천 년 미식의 역사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91260892 03910 : \12,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 원저작언어 - jpn
- DDC
- 641.5952-20
- 청구기호
- 394.120952 장14ㅈ장
- 저자명
- 장경 , 1953-
- 서명/저자
- 식탁 위의 중국사 : 한 상 가득 펼쳐낸 오천 년 미식의 역사 / 장징 지음 ; 장은주 옮김
- 발행사항
- 파주 : 현대지성, 2021
- 형태사항
- 296 p. : 삽화 ; 21 cm
- 주기사항
- 원저자명 : 張競
- 원저자/원서명
- 中華料理の文化史
- 기타저자
- 장은주 , 1969-
- 기타서명
- chukaryouri no bunkashi
- 가격
- \12,000
- Control Number
- joongbu:586810
- 책소개
-
5천 년 역사 중국에는 전통 요리가 없다
수많은 민족의 문화가 뒤섞인 중국을 이해하는 필수 교양서
식생활을 보면 그 나라의 진짜 역사와 문화가 보인다. 복식과 의례는 꾸며낼 수 있지만, 음식은 자연스럽게 일상에 스며들기 때문이다.
가령,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매운 음식을 즐겨 먹었을 것 같지만 매운맛을 내는 고추는 18세기 초가 되어서야 중국에 퍼졌다. 한국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마라탕’ 역시 비교적 최근 음식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만두나 면에 대해 몰랐으며, 쌀이 아닌 콩이 서민의 주식이었다. 현대 중국인은 생선회를 먹지 않지만 춘추시대에는 생식이 매우 일반적이어서 공자도 육회를 즐겨 먹었다.
이처럼 지금 우리가 떠올리는 중화요리는 ‘전통 요리’가 아닌, 이민족의 침략과 서역과의 교류 과정에서 만들어진 근대적 산물이다. 이 책은 50권이 넘는 풍부한 사료에서 찾은 중화요리의 흥미로운 뒷이야기를 다루면서 음식이라는 키워드로 5천 년 중국의 역사 전체를 살피고 있다.
· 공자는 손으로 밥을 먹었다?
· 사천에서는 언제부터 매운 음식을 먹었을까?
· 왜 현대 중국인은 회를 잘 먹지 않을까?
· 중국음식은 왜 이렇게 기름기가 많고 느끼할까?
· 중국인들은 개고기를 어떻게 생각할까?
MARC
008210218s2021 ggka 000c kor■020 ▼a9791191260892▼g03910▼c\12,000
■035 ▼a(KERIS)BIB000015765190
■0411 ▼akor ▼hjpn
■082 ▼a641.5952▼220
■090 ▼a394.120952▼b장14ㅈ장
■1001 ▼a장경▼d1953-
■24510▼a식탁 위의 중국사▼b한 상 가득 펼쳐낸 오천 년 미식의 역사▼d장징 지음▼e장은주 옮김
■260 ▼a파주▼b현대지성▼c2021
■300 ▼a296 p.▼b삽화▼c21 cm
■50010▼a원저자명 : 張競
■50710▼t中華料理の文化史
■653 ▼a중국▼a역사▼a미식▼a식문화
■7001 ▼a장은주▼d1969-▼e역
■940 ▼achukaryouri no bunkashi
■9500 ▼b\12,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Buch Status
- Reservierung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eine Mappe
Registrierungsnummer | callnumber | Standort | Verkehr Status | Verkehr Info |
---|---|---|---|---|
EM0379728 | 394.120952 장14ㅈ장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379729 | 394.120952 장14ㅈ장 c.2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Kredite nur für Ihre Daten gebucht werden. Wenn Sie buchen möchten Reservierungen, klicken Sie auf den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