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저작권 법제사 100년
한국 저작권 법제사 100년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84946156 93360 : \30,000
- DDC
- 346.0482 341.7582-20
- 청구기호
- 341.7582 최14ㅎ
- 저자명
- 최경수 , 1956-
- 서명/저자
- 한국 저작권 법제사 100년 / 최경수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혜안, 2018
- 형태사항
- 448 p. : 삽화, 서식 ; 24 cm
- 주기사항
- 설명적 각주 수록
- 주기사항
- 부록: 1. 1.1.) 국회도서관 기록보존물, 2. 1.2.) 제23회 국회임시회의속기록, 3. 2.) 미·일 조약 등 외 수록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및 참고문헌(p. 193-197)과 색인(p. 446-448) 수록
- 기금정보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8년 우수출판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 선정작임
- 일반주제명
- 저작권법(법률)[著作權法]
- 일반주제명
- 법제사[法制史]
- 주제명-지명
- 한국(국명)[韓國]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기타서명
- 한국 저작권 법제사 백년
- 가격
- \30,000
- Control Number
- joongbu:584065
- 책소개
-
한국 저작권법제도의 도입부터 정착까지 100년의 역사를 돌아보다!
21세기 들어 인터넷과 SNS 등을 통해 누구나 글이나 영상, 음악 등을 발표하고 유통하게 되는 세상이 되면서, ‘저작권’은 문화예술 및 각종 저술활동을 하는 개인이나 기업 등에서 반드시 알고 확인해야 할 필수불가결한 개념이 되었다. 그럼, 우리나라에서 이 저작권의 법률적인 역사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발전되어 왔을까?
정부의 FTA지적재산권 분야 협상 대표부의 일원이자, 한국저작권위원회 연구실장으로 재직하면서 오랫동안 저작권 문제에 천착, 연구해 온 최경수 박사가 이제 한국 근대 저작권 법제 100년을 돌아보는 학술서를 발행하였다. 연구역사도 얕고, 연구자도 별로 없던 저작권법 분야에서 이제 제대로 된 ‘한국 저작권법’의 발자취를 정리할 수 있게 되어 그 학술적 의미는 남다르다 하겠다.
저자에 따르면 우리가 알고 있는 ‘저작권법’도 느닷없이 등장한 것이 아니다.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