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정의의 감정들 : 조선 여성의 소송으로 본 젠더와 신분
정의의 감정들 : 조선 여성의 소송으로 본 젠더와 신분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94606613 93910 : \20,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DDC
- 342.519/080903-20
- 청구기호
- 342.51 김78e김
- 저자명
- 김지수
- 서명/저자
- 정의의 감정들 : 조선 여성의 소송으로 본 젠더와 신분 / 김지수 지음 ; 김대홍 옮김
- 발행사항
- 서울 : 너머북스, 2020
- 형태사항
- 306 p. : 삽화 ; 22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280-301)과 색인수록
- 기타저자
- 김대홍
- 기타저자
- 김, 지수 M.
- 기타저자
- Kim, Jisoo M.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joongbu:583387
- 책소개
-
조선시대는 노비제를 포함한 신분 세습체제와 유교적 관점에 기반한 젠더 구분 때문에 전형적인 경직된 사회로 그려지곤 한다. 그러나 <정의의 감정들 - 조선 여성의 소송으로 본 젠더와 신분>은 놀라울 정도로 복합적인 법적 시스템의 그림을 드러내며, 조선 사회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새로운 긴장을 불어넣는다.
컬럼비아대 박사과정 중 조선시대 여성이 국가에 억울함을 제기한 소지(所志)를 접했다는 김지수 교수(조지워싱턴대 역사학과)는 조선시대 여성들이 노비에서 양반까지 신분과 관계없이 법적 주체로 인정받고 독립된 목소리를 내면서 법정에 섰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한다. 동시대 중국이나 유럽에서는 결혼한 여성의 경우 남성을 통해서만 법정에 설 수 있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여기에 다 감정사(history of emotion)라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결합하여 서로 다른 젠더와 신분의 주체가 사회 안에서 동등한 법적 주체로 인식되면서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에 관해 다양하고 복잡한 상을 제시한다. 여성이 이 책의 핵심 행위자이지만, 여성이 속해 있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 및 제도적 수준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남녀를 아우르는 젠더의 역사에 관한 것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 여성들의 젠더와 신분, 법 감정을 처음으로 연구한 결과물이라는 점과, 시대와 학문 분야를 막론하고 공감이 가는 주제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역사의 특수성을 동아시아사 및 서양사와 비교하면서 세계사의 맥락에서 보편적으로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국제 학계의 높은 평가를 받으며 팔레상(James D. Palais Book Prize)을 수상하였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моя папка
Reg No. |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 статус |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
---|---|---|---|---|
EM0377353 | 342.51 김78e김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377354 | 342.51 김78e김 c.2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