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스러져간 백제의 함성 : 한국사 최초의 국권회복운동 '백제부흥운동'
스러져간 백제의 함성 : 한국사 최초의 국권회복운동 '백제부흥운동'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2464283 93910 : \20,000
- DDC
- 951.33-20
- 청구기호
- 951.33 최44ㅅ
- 저자명
- 최병식 , 1949-
- 서명/저자
- 스러져간 백제의 함성 : 한국사 최초의 국권회복운동 백제부흥운동 / 최병식 [외]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주류성, 2020
- 형태사항
- 290 p. : 삽화 ; 23 cm
- 주기사항
- 공저자: 노중국, 심정보, 양기석, 김주성, 권오영, 김기섭, 임영진, 정재윤
- 일반주제명
- 백제 부흥 운동[百濟復興運動]
- 주제명-지명
- 백제(국명)[百濟]
- 기타저자
- 노중국
- 기타저자
- 심정보
- 기타저자
- 양기석
- 기타저자
- 김주성
- 기타저자
- 권오영
- 기타저자
- 김기섭
- 기타저자
- 임영진
- 기타저자
- 정재윤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joongbu:583321
- 책소개
-
백제 부흥운동의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는 교양서
- 한국사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조직적이고 장기적인 국권회복운동
백제 부흥운동은 한국고대사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국권회복운동의 성격을 지녔다. 이전에도 여러 정치체들이 멸망하였지만 백제처럼 멸망한 국가를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하여 전국적인 규모로 조직적이고 장기적인 부흥운동을 전개한 나라는 없었다. 그리고 단순한 무력투쟁에서 벗어나 국가 체제를 갖추고 다양한 외교방법을 통해 국권회복 운동을 전개한 점도 역시 주목할 만하다. 백제 부흥전쟁은 대외적으로 볼 때 동아시아의 모든 국가가 참여한 국제전쟁이었으며, 그 성패는 이후 동아시아 국가들의 운명을 바꿔 놓았다.
지금까지 백제 부흥운동에 대한 전문서는 몇 가지 책이 출간되었지만 일반 독자들이 백제 부흥운동의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길잡이가 되는 교양서는 아직 출간되지 않았다. 요즈음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 교양 수준을 넘어 보다 심층적으로 알고자하는 지적 요구가 점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그동안 백제사를 연구해 온 전문학자들이 백제 부흥운동의 실상을 일반 독자들에게 어떻게 이해시킬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양을 길러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은 백제사에 대한 교양서이자 전문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