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고려시대 군사제도 연구
고려시대 군사제도 연구 / 권영국 지음
내용보기
고려시대 군사제도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49948621 93910 : \38,000
청구기호  
951.4 권64ㄱ
저자명  
권영국
서명/저자  
고려시대 군사제도 연구 / 권영국 지음
발행사항  
파주 : 景仁文化社, 2019
형태사항  
xiv, 560 p. ; 23 cm
총서명  
경인한국학연구총서 ; 172
주기사항  
2020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주기사항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일반주제명  
고려 시대[高麗時代]
일반주제명  
군사 제도(고려시대)[軍事制度]
기타저자  
권영국 , 1955- , 權寧國
통일총서명  
경인한국학연구총서 ; 172
가격  
\38,000
Control Number  
joongbu:582678
책소개  
수많은 전쟁을 거쳤던 고려시대 군사제도에 관한 이야기

우리 역사상 군사(軍事)에 관한 기록을 남긴 삼국시대 이후로 군사제도의 역사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 왔다. 신라의 경우 중앙의 여러 정치기구 가운데 가장 먼저 설치된 관부(官府)가 병부(兵部)였을 정도로 역사상 군사부분이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고려시대에도 국가 통치에 필요한 제도를 서술한 『고려사(高麗史)』의 지(志) 항목에서 병지(兵志)가 4번째에 위치할 만큼 중요하게 취급되었다. 특히 고려시대는 거란·여진·몽골 등 이민족과의 전쟁이 많았던 시기였기 때문에 군사와 관련된 문제는 더욱 중요하였다. 또한 군사 조직, 군대의 동원과 지휘, 병권의 소재 등을 주제로 하는 군사제도는 한 사회의 정치적·사회적 변동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이므로, 군사제도사는 단순히 군사적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의 전 분야에 결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다.

본서는 고려시대 군제사를 주제로 그동안 연구한 성과들을 정리한 것이다. 『고려후기 군제사 연구』라는 제목으로 박사논문을 발표한 이후에 작성한 고려전기 부분의 군제사와 관련된 논문들을 모아 종합한 것이다. 새로운 문제의식과 자료해석을 통해 그동안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던 건국 초기 군정기구로서의 병부와 군령기구로서의 순군부·중추원 등의 군사기구, 2군6위 중앙군의 성격 논쟁, 동북면지역의 영역 변천과 방어체제, 무신집권기에서 고려 말에 이르기까지 군사제도의 변천, 그리고 고려시대 군역제의 성립과 변화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기존 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특히 논쟁이 전개되고 있는 주제에 대해서는 나름의 견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337698 951.4 권64ㄱ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37699 951.4 권64ㄱ c.2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