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 복지 실천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 복지 실천 / 김영순 ; 김선정 외 [저]
내용보기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 복지 실천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30318532 94370 : \22,500
ISBN  
9788930315005(세트)
DDC  
303.482-20
청구기호  
303.482 김64ㅎ
저자명  
김영순
서명/저자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 복지 실천 / 김영순 ; 김선정 외 [저]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20
형태사항  
xix, 402 p. : 삽도, 도표 ; 24 cm
총서명  
아산재단 연구총서 ; 제455집
주기사항  
공저자: 김선정, 오영훈, 이미정, 김창아, 김기화, 박미숙, 윤현희
서지주기  
참고문헌(p. 371-397)과 찾아보기(p. 398-402) 수록
키워드  
다문화(문화) 다문화 교육 사회 복지
기타저자  
김선정
기타저자  
오영훈
기타저자  
이미정
기타저자  
김창아
기타저자  
김기화
기타저자  
박미숙
기타저자  
윤현희
전자적 위치 및 접속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가격  
\22,500
Control Number  
joongbu:581791
책소개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 복지 실천

이제 우리 한국사회도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아무도 부인할 수 없다. 그래서 서로 협력하고 공존할 줄 아는 공동체적인 삶의 태도와 포용할 수 있는 시민정신을 키워야 할 때이다. 다문화교육은 사회적 통합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해결점을 찾는 프로젝트를 넘어 체계적인 내용체계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할 장기 프로젝트로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우리 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 된다면, 이들은 아시아 공동체를 뛰어 넘어 세계를 상대로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다문화교육은 주로 북미와 유럽 등을 모범으로 삼는다. 이 점에 대해 이 책의 집필진들은 부인하지는 않지만 동의도 역시 하지 못한다. 우리는 베트남 라오까이성의 다양한 소수민족 간의 공존을 교훈으로 삼을 수도 있고, 인도네시아의 국시인 ‘다양성 속의 조화(Diversity of social culture’ but life in UNITY)’에도 동의를 표할 수 있다. 이런 사례와 경험 그리고 슬로건은 우리 사회가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지향성을 제시한다. 이 말이 다수자들에게 소수자들의 문화도 배우게 하자는 성찰을 불러일으키게 하여, 존재의 다름과 같음을 이해하면서 다른 존재자들과도 함께 잘 어울려 살 수 있기를 희망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376294 303.482 김64ㅎ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