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미디어 공진화 : 정보인프라와 문화콘텐츠의 융합 발전 = Media coevolution : interdepend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cultural contents
미디어 공진화 : 정보인프라와 문화콘텐츠의 융합 발전 = Media coevolution : interdepend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cultural contents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46071742 03320 : \33,000
- DDC
- 302.23-20
- 청구기호
- 302.23 김58ㅁ
- 저자명
- 김신동 , 1963-
- 서명/저자
- 미디어 공진화 : 정보인프라와 문화콘텐츠의 융합 발전 = Media coevolution : interdepend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cultural contents / 김신동 엮음 ; 송경재 [외]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9
- 형태사항
- 308 p. : 삽화, 도표 ; 24 cm
- 총서명
- ICT 사회 연구 총서 ; 5
- 총서명
- 한울아카데미 ; 2174
- 주기사항
- 2020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 주기사항
- 공저자명: 송경재, 황근, 송민정, 조영신, 이남표, 배진아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 293-308
- 기타저자
- 송경재
- 기타저자
- 황근
- 기타저자
- 조영신
- 기타저자
- 이남표
- 기타저자
- 배진아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33,000
- Control Number
- joongbu:580133
- 책소개
-
플랫폼의 진화, 콘텐츠의 미래
미디어 공진화란 미디어 분야의 두 축을 이루는 플랫폼과 콘텐츠가 상호의존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해나간다는 점을 포착하고자 만든 개념이다. 플랫폼 연구자들은 끝없이 플랫폼 이야기를 하고 콘텐츠 연구자들은 반복적으로 콘텐츠 이야기만을 하는 경향이 있다. 콘텐츠 없는 플랫폼은 공허하고 플랫폼 없는 콘텐츠는 가난해진다. 이 둘의 관계는 차와 도로에 비유할 수 있다. 플랫폼이 도로라면 콘텐츠는 자동차인 셈이다. 도로는 8차선인데 차가 몇 대 없다면 어쩔 것인가? 잘못된 투자로 공공자금만 날리는 꼴이 될 것이다. 반대의 경우에는 정체 현상이 일어나 비효율이 심해지고 콘텐츠 제작에서 발전을 기대하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두 분야의 발전은 서로의 발전을 전제했을 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