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제주도 도구의 생활사
제주도 도구의 생활사 / 지은이: 고광민
내용보기
제주도 도구의 생활사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94474960 93380 : \25,000
DDC  
951.95-20
청구기호  
390.095199 고15ㅈ
저자명  
고광민 , 1952-
서명/저자  
제주도 도구의 생활사 / 지은이: 고광민
발행사항  
제주 : 한그루, 2019
형태사항  
405 p. : 삽화, 초상 ; 22 cm
총서명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총서 ; 39
주기사항  
2020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기금정보  
출판비 일부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았음
일반주제명  
도구(연장)[道具]
일반주제명  
생활사[生活史]
주제명-지명  
제주도[濟州島]
가격  
\25,000
Control Number  
joongbu:580127
책소개  
제주학연구센터의 서른아홉번 째 제주학총서로 발간된 《제주도 도구의 생활사》는 원초경제사회 제주의 도구를 통해 서민 생활사를 살핀 책이다.
원초경제사회란 삶에 필요한 자원을 자연에서 마련하여 살아갔던 때를 이르는데, 원초경제사회의 도구는 ‘일할 때 쓰는 연장’을 뛰어넘어 공동체가 만든 문화유산이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의식주 도구의 생활사’에서는 모자, 신발, 방아, 초가집, 지붕, 조명 등을 통해 일상생활 속의 의식주 도구를 살폈다. 특히 한반도와의 비교 교찰을 통해 제주문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2장 ‘생산 도구의 생활사’에서는 ‘탐라순력도’ 속의 해녀를 통해 해녀의 생산 도구와 생활사를 들여다본다. 또한 방울과 낙인 등 제주의 방목 문화에 따른 삶과 도구의 문제에 접근한다.
3장 ‘운반 도구의 생활사’에서는 ‘인력, 우력, 마력’으로 운반 동력을 구분하여 들여다보고, 여성들의 대표적인 운반 도구인 ‘구덕’과 ‘차롱’의 전승 실태를 들여다본다.
4장 ‘도구 생산의 생활사’에서는 새당(제주도 안덕면 덕수리의 옛 이름) 보습의 생산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푸는체, 맨촌(제주시 도련2동)에서 생산되던 명품 대그릇인 맨촌구덕과 맨촌차롱을 살펴본다.
5장은 제주도 안덕면 감산리 ‘민속자료실’의 도구를 조사하고 여러 어르신들의 가르침을 기록하여 정리했던 1999년의 원고를 고쳐 쓴 것이다. 감산리에서 전승되었던 도구를 기능적으로 분류하고 각 도구에 설명을 다시 붙였다.
제주도의 ‘???갱이’나 강원도 홍천 지역의 ‘양귀호미’는 주어진 풍토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동으로 창조한 것이다. 제주도의 ‘???갱이’를 만든 ‘불미쟁이’와 강원도의 ‘양귀호미’를 만든 대장장이는 도구 사용자의 뜻에 따라 일정한 도구를 생산하는 생산자에 불과하다. 이처럼 삶과 문화를 공유하는 공동체의 산물로서 원초경제사회 때의 전통 도구는 그 시대의 생활사를 들여다볼 수 있는 거울인 셈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374605 390.095199 고15ㅈ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