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고령친화적 도시재생뉴딜 : 일본의 고령친화 주거지재생 정책 사례 연구 : 저출산·고령화 시대와 한국형 사회복지
고령친화적 도시재생뉴딜 : 일본의 고령친화 주거지재생 정책 사례 연구 : 저출산·고령화 시대와 한국형 사회복지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30318501 94330 : \25,000
- ISBN
- 9788930315005 (세트)
- DDC
- 307.3416-20
- 청구기호
- 307.3416 김94ㄱ
- 저자명
- 김현주 , 1971-
- 서명/저자
- 고령친화적 도시재생뉴딜 : 일본의 고령친화 주거지재생 정책 사례 연구 : 저출산·고령화 시대와 한국형 사회복지 / 김현주 저
- 발행사항
- 서울 : 집문당, 2019
- 형태사항
- xvii, 305 p. : 천연색삽화, 도표 ; 23 cm
- 총서명
- 아산재단 연구총서 ; 452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일반주제명
- 도시 재생[都市再生]
- 일반주제명
- 도시 계획[都市計劃]
- 일반주제명
- 고령화 사회[高齡化社會]
- 일반주제명
- 노인 주거[老人住居]
- 통일총서명
- 아산재단 연구총서 ; 452
- 가격
- \25,000
- Control Number
- joongbu:579859
- 책소개
-
고령 친화적 도시재생뉴딜: 일본의 고령친화 주거지재생 정책 사례 연구
이 책은 무한히 포용적이기만 한 주민 삶의 질적 향상 또는 주거복지라는 목표가 정부의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와 각 지자체의 맹목적인 사업추진의 명분으로는 그럴듯할지 모르나 실제로 도시재생사업의 평가과정에서 불거지는 “내 삶은 달라진 것이 하나도 없다”와 같은 주민 체감도와의 간극을 좁히는 데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는 안타까움에서 시작됐다. 그리고 대안으로 규모와 다양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고령인구의 삶의 질에 대한 구체적 전망을 밝히며 노인이 오래 거주해온 곳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게 주거지를 재생하는 고령친화적 도시재생뉴딜을 제안했다. 특히 이 책은 앞으로 고령화 정책이 정책의 효용성과 비용 절감 측면에서 고령자의 삶의 질과 직결된 도시, 주택, 건강, 의료, 복지 각 정책의 연계를 추진해야만 하는 시점에서 우리 사회가 제공해야 할 죽기 전 10년의 실질적인 노인주거 및 사회서비스가 어떻게 주거지를 중심으로 서로 맞물리며 제공될 수 있을지를 중점적으로 탐색했다. 이 책의 내용이 현재 노후주거지에 거주하는 고령자의 삶의 질 제고와 함께 이제 십 년도 남지 않은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고령인구의 공간복지는 물론 다양한 사회안전망과 노인사회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고령친화적 도시재생뉴딜의 구상과 추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