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무등산과 고전문학
무등산과 고전문학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8499830 93810 : \29,000
- DDC
- 895.709-20
- 청구기호
- 811.0903 박76ㅁ
- 저자명
- 박준규
- 서명/저자
- 무등산과 고전문학 / 박준규 [외] 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국학자료원, 2019
- 형태사항
- 394 p. : 삽화, 도표 ; 24 cm
- 총서명
-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총서 ; 8
- 주기사항
- 지은이: 나경수, 송진한, 김신중, 김대현, 신해진, 표인주, 박명희, 조태성, 김아연, 백지민, 고성혜
- 서지주기
-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기금정보
- 이 책은 2018년도 한국연구재단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CORE) 지원에 의해 출판되었음
- 기타저자
- 나경수
- 기타저자
- 송진한
- 기타저자
- 김신중
- 기타저자
- 김대현
- 기타저자
- 신해진
- 기타저자
- 표인주
- 기타저자
- 박명희
- 기타저자
- 조태성
- 기타저자
- 김아연
- 기타저자
- 백지민
- 기타저자
- 고성혜
- 통일총서명
-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총서 ; 8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29,000
- Control Number
- joongbu:564574
- 책소개
-
오랜 세월 동안 무등산이 길러낸 문화 역시 다양하다. 무등산은 특히 문학의 보고이다. 멀리는 그곳에 기대어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꿈이 담긴 옛 이야기를 비롯하여, 아름다운 풍광이 빚어낸 시와 노래는 물론, 마치 순례자와도 같은 발길로 그려낸 기행 체험, 계산 풍류의 산실이 되어 주었던 누정과 원림의 울림, 그리고 국난을 당해 일어선 사람들의 분연한 외침에 이르기까지, 실로 풍부한 유산이 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금도 여전히 시와 소설 등 여러 장르에 걸쳐 새로운 작품 창작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책이 주목한 것은 그중에서도 특히 무등산의 고전문학이다. 분야별로는 누정원림시문을 비롯하여 가사, 한시, 유산기, 설화, 고소설, 실기를 망라하였다. 모두 12명의 필자가 참여하여 13편의 글을 이 책에 수록하였다. 부연하자면, 식영정과 소쇄원의 조영과 관련된 시문을 다룬 2편, 가사 작품인 [면앙정가]·[성산별곡]·[석촌별곡]을 다룬 3편, 적벽 공간과 무등산 유람을 노래한 한시를 다룬 2편, 무등산 유산기를 다룬 1편, 무등산과 김덕령 설화를 다룬 3편, 고소설 [김덕령전]을 다룬 1편, 무등산권역의 실기 문헌을 다룬 1편이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