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상택지 : 주거선택 백과사전
상택지 : 주거선택 백과사전 / 서유구 지음 ;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Contents Info
상택지 : 주거선택 백과사전
Material Type  
 단행본
ISBN  
9791189801014 94030 : \33,000
DDC  
133.3337-20
Callnumber  
133.333 서66ㅅ
Author  
서유구 , 1764-1845
Title/Author  
상택지 : 주거선택 백과사전 / 서유구 지음 ;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Publish Info  
[서울] : 풍석문화재단, 2019
Material Info  
643 p. : 천연색삽화, 지도 ; 23 cm
총서명  
임원경제지 ; 권107-108
General Note  
2019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General Note  
한자표제: 林園十六誌 相宅志
서지주기  
참고문헌 (p. 610-617) 및 색인 (p. 618-639) 수록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대지(땅)[垈地]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명당[明堂]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풍수 지리[風水地理]
Added Entry-Personal Name  
이동인
Added Entry-Personal Name  
정명현
Added Entry-Personal Name  
민철기
Added Entry-Personal Name  
정정기
Added Entry-Personal Name  
김현진
Added Entry-Personal Name  
김수연
Added Entry-Personal Name  
강민우
Added Entry-Personal Name  
김광명
Added Entry-Personal Name  
최시남
Added Entry-Corporate Name  
임원경제연구소
Series Added Entry-Uniform Title  
임원경제지 ; 권107-108
Price Info  
\33,000
Control Number  
joongbu:564331
책소개  
일생을 바쳐 남긴 풍석 서유구의 저술,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 · 중국 · 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임원경제지》는 총 16개의 분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곡식 농사에 관한 기록인 《본리지(本利志)》, 식용 식물과 약용 식물에 관한 기록인 《관휴지(灌休志)》, 화훼농사에 관한 기록인 《예원지(藝苑志)》, 과실과 나무에 관련된 기록인 《만학지(晩學志)》, 옷감 재료의 생산과 그 만드는 법에 관한 기록인 《전공지(展功志)》, 여러 가지 자연현상을 보고 기상을 예측하는 방법을 기록한 《위선지(魏鮮志)》, 목축 · 사냥 · 어로에 관련된 기록인 《전어지(佃漁志)》, 솥과 도마로 대표되는 음식의 조리법과 재료의 효능에 관한 기록인 《정조지(鼎俎志)》, 쓰는 물건을 넉넉하게 한다는 뜻으로 건축과 일용품에 관한 기록인 《섬용지(贍用志)》, 몸을 양생하는 일과 관련된 기록인 《보양지(保養志)》, 어진 마음으로 사람을 구제하는 일에 관한 기록이라는 뜻으로 의학에 관한 내용을 적은 《인제지(仁濟志)》, 향촌의 의례에 관한 기록인 《향례지(鄕禮志)》, 교양 지식에 관한 기록인 《유예지(遊藝志)》, 문화생활에 관한 기록인 《이운지(怡雲志)》, 좋은 집터를 살피는 일에 관한 기록인 《상택지(相宅志)》, 경제와 상업 활동에 관한 《예규지(倪圭志)》가 그것이다.

《상택지》는 ‘집터 살피기’, ‘집 가꾸기’, ‘전국의 명당’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집터 살피기’에서는 풍수지리학을 바탕으로 살기 좋은 곳과 피해야 할 곳을 알려주고, 지리적 요소, 물과 흙, 생업 조건, 인심 등도 함께 고려하라고 충고한다. ‘집 가꾸기’에서는 황무지를 개간하는 요령부터 나무를 심어 아름다운 환경을 조성하고 방위를 정해서 집과 대문, 창고, 변소, 마구간을 짓는 과정, 연못과 우물의 배치 등도 자세히 알려준다. 이어서 ‘전국의 명당’에서는 총 233곳의 명당을 소개했다. 조선 시대에 소개된 명당 중 최대의 양을 자랑한다. 경기 82곳, 충청 56곳, 강원 42곳, 경상 25곳, 전라 17곳, 황해 5곳, 평안 3곳, 함경 3곳 등이다. 소개된 명당이 경기도와 충청도에 집중된 이유는 그곳에 실제로 명당이 많아서라기보다는 사대부가 발탁이 되었을 때 곧장 관직에 나아갈 수 있는 여건이 가장 좋았기 때문이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EM0359278 133.333 서66ㅅ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