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서정주의 신라정신 또는 릴케현상 : 한국 시학, 그이행의 역량을 찾아서
서정주의 신라정신 또는 릴케현상 : 한국 시학, 그이행의 역량을 찾아서 / 김익균 지음.
내용보기
서정주의 신라정신 또는 릴케현상 : 한국 시학, 그이행의 역량을 찾아서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59054099 93810 : \35,000
DDC  
811.1504-20
청구기호  
811.1609 김68ㅅ
저자명  
김익균((金益均)) , 1975-
서명/저자  
서정주의 신라정신 또는 릴케현상 : 한국 시학, 그이행의 역량을 찾아서 / 김익균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9.
형태사항  
526 p.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p. 510-525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주제명-개인  
서정주((徐廷柱)) , 1915-2000
키워드  
한국시평론 서정주시연구
전자적 위치 및 접속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기타저자  
Kim, Ig-Kyun
가격  
\35,000
Control Number  
joongbu:562105
책소개  
2015년에 탄생 100주년을 맞았고 곧 다가올 2020년에는 20주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서정주가 죽고 신설되었던 ‘미당문학상’은 20년을 못 채우고 폐지되었다. 그 좌충우돌의 과정에서 나온 많은 입론들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기 위해서는 앞으로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서정주의 신라정신 또는 릴케 현상은 서정주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으면서 한국 지성사 안에 릴케 현상의 자리를 마련한다. 서정주를 비판하거나 옹호하는 이들의 기존 논리와 거리를 두면서 1910년대 중반에 태어나 1930~1970년대에 왕성하게 활동했던 한 시인의 정신적 삶을 문제화하고 있다. 역사 속의 인물은 우선 ‘이해’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미당문학상’ 존폐 논란의 와중에 장정일은 서정주의 시세계를 계승한 시인들이 미당문학상을 받는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다만 서정주의 시세계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를 핵심 문제로 놓았다. 장정일의 입론에서 서정주는 ‘생의 구경적 탐구’를 시업으로 삼은 “한국 전통의 미학과 정신”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해방 이후 서정주의 시세계가 겉보기에는 “한국 전통의 미학과 정신”을 표현한 것처럼 보이지만 일제 말 ‘동양론’과의 연관성과 맺는 관계에 주목하면 오히려 반민족적이고 고대 그리스정신의 번안이라는 혐의를 통해서는 비민족적이다. 이는 관점을 달리하면 혼종적인 식민지 근대성의 정화로 읽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서정주 시세계’를 계승한 시인이 상을 받는 것은 아무 문제가 없다는 장정일의 주장은 근본적인 질문으로 다시 읽힌다. ‘서정주’적인 것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서정주의 신라정신 또는 릴케 현상?은 다음을 중심으로 서정주를 살펴보았다.

첫째, 정통적인 서정주 연구의 형이상학적인 접근을 뒤집어 구체적 역사성을 산출한다. 서정주 중기시는 한국전쟁의 고통을 초연함으로 승화 혹은 회피했다고 평가되면서 영원성이라는 서정주 특유의 형이상학적인 태도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서정주의 중기시는 서정주 개인의 형이상학이 아니라 고통을 이겨나가는 한국 사회의 경험이 표현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외국문학자들 특히 불문학자들에 의해 축적된 서정주-보들레르에 대한 비교문학적 접근을 해체한다. 서정주가 ‘보들레르의 도당’이었다는 자전적 서술에 근거해 그의 초중기 시는 보들레르의 여러 시편들과 비교문학적으로 분석되어 왔다. 그러나 이 책은 서정주의 자전적 서술을 확인한바 서정주의 발언의 진의는 등단하기 전의 습작기에 ‘보들레르의 도당’이었다는 의미였음을 지적한다. 또한 서정주 발언의 맥락은 자신이 등단 직후 ‘보들레르와 톨스토이’ 사이에서 방황하다가 니체에게로 넘어갔다는 데 있음을 밝혔다. 이 책은 ‘서정주-니체’의 비교문학적 접근을 통해서 추의 미학을 개척한 ‘탐미적 서정주’ 이미지를 ‘고통의 몸부림과 자가 치유를 위한 지혜를 찾아나서는 서정주’의 이미지로 대체하고 있다.

셋째, 1970년대 서정주가 당대성을 공유하면서 민중문학과 새마을 문학 사이에서 제3의 길을 개척했음을 밝힌다. 서정주의 유년시절의 기억에 기반해 있는 『질마재 신화』는 산업화 시대에 반문명적 상상력을 제시한다는 평가와 1970년대의 당대성이 부재하다는 반론이 상존하고 있다. 『질마재 신화』의 당대성을 부정하는 논거는 ‘신라정신’의 시대착오성이라는 전제에 연원을 두고 있다. 『석사 장이소의 산책』의 서사 공간 1969년의 ‘서울-고욤다래 나루터’와 『질마재 신화』의 공간, 인물, 생태학적 자연관은 많은 유사성을 보여주는데 『질마재 신화』가 서정주의 유년기 체험과 연루된다면 『석사 장이소의 산책』의 시간이 텍스트를 집필하기 시작한, 달리 말하면 텍스트의 모티브를 얻은 시기인 1969년으로 제한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328452 811.1609 김68ㅅ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28453 811.1609 김68ㅅ c.2 고양캠퍼스 보존서고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