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미 대륙의 항일무장투쟁론자)박용만
(미 대륙의 항일무장투쟁론자)박용만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90848819 03900 : \10,000
- DDC
- 951.6092
- 청구기호
- 951.6092 독29ㅎ v.13
- 저자명
- 김도훈
- 서명/저자
- (미 대륙의 항일무장투쟁론자)박용만 / 김도훈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역사공간, 2010.
- 형태사항
- 181 p. : 삽도 ; 21 cm.
- 총서명
- (독립기념관) 한국의 독립운동가들 ; [13]
- 주기사항
- 권차 임의 부여
- 주기사항
- 찾아보기 : p. 176-181.
- 주기사항
- 기획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주기사항
- 박용만의 이명은 '박용필' 임.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 170-175.
- 주제명-개인
- 박용만 , 1881-1928
- 주제명-개인
- 박용필 , 1881-1928
- 기타저자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10,000
- Control Number
- joongbu:550173
- 책소개
-
박용만은 이승만·안창호와 더불어 미주한인사회의 3대 지도자이자 한평생 항일무장투쟁론과 임시정부 건설론을 주창했던 인물로서 재미한인사회에서는 아직도 그를 기억하고 기리는 사람들이 있다. 박용만의 영향력은 재미한인사회뿐 아니라 국내를 비롯한 해외한인사회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또한, 1911년부터 설파한 무형국가론은 한인 최초의 임시정부 건설론으로 대한인국민회를 1910년대 임시정부로 기능하게 하였고, 1917년 대동단결선언을 거쳐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까지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박용만의 생애와 민족운동,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공백에 빠져 있던 1910년대 한국 민족운동의 흐름과 전략이 어떻게 수립되고 전개되었는가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열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