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나는 뇌가 아니다 : 칸트, 다윈, 프로이트, 신경과학을 횡단하는 21세기를 위한 정신 철학
나는 뇌가 아니다 : 칸트, 다윈, 프로이트, 신경과학을 횡단하는 21세기를 위한 정신 철학
- Material Type
- 단행본
- ISBN
- 9788932919201 03100 : \18,000
- DDC
- 100-20
- Callnumber
- 128.2 G118i전
- Author
- Gabriel, Markus , 1980-
- Title/Author
- 나는 뇌가 아니다 : 칸트, 다윈, 프로이트, 신경과학을 횡단하는 21세기를 위한 정신 철학 / 마르쿠스 가브리엘 지음 ; 전대호 옮김
- Publish Info
- 파주 : 열린책들, 2018
- Material Info
- 450 p. ; 20 cm
- General Note
- 색인수록: p. 441-450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429-439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Philosophy of mind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Consciousness
- Added Entry-Personal Name
- 전대호
- Electronic Location and Access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기타저자
- 가브리엘, 마르쿠스
- Price Info
- \18,000
- Control Number
- joongbu:546516
- 책소개
-
인간의 본질을 캐묻는 [정신 철학]의 여정
『나는 뇌가 아니다』는 독일에서 가장 촉망받는 철학자 마르쿠스 가브리엘이 내놓은 도발적인 철학서이다. 칸트, 다윈, 프로이트, 신경과학을 넘나들며 정신 철학의 주요 개념들을 다양한 비유와 독창적인 생각 실험, 위트를 버무려 대중의 눈높이에서 풀어 놓았다. [철학자들은 자신들의 연구가 우리의 인간상에 대해서 함축하는 바를 대중에게 최대한 많이 알릴 의무가 있다]는 발언에서 보듯, 저자는 전문 용어를 자제하고 미드, SF 영화, 불상, 뱀, 고양이 등 우리가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대상들을 동원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높인다.
그럼에도 이 책이 다루는 문제의식들은 결코 만만치 않다. 전작 『왜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가』가 유물론적 세계관(오직 물질적 대상들만 존재한다는 주장)의 허상을 무너뜨렸다면, 이 책은 인간의 정신, 다시 말해 생각하고 느끼며, 정치, 경제, 예술 활동 영위하는 정신적인 생물인 인간 그 자체를 다룬다.
[나는 대체 누구인가, 또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오랫동안 정신 철학의 전통 속에서 다뤄져 온 문제였다. 하지만 오늘날 이 자기인식의 물음은 자연과학의 분과 학문인 신경과학에게 점차 자리를 넘겨주고 있고, 그 결과 [우리는 우리 뇌다]라는 언술이 직접적으로든(디크 스왑의 동명의 저서) 암시로든 우리 시대를 물들이고 있다. 가브리엘이 새롭게 쓰는 [21세기를 위한 정신 철학]은 우리 시대에 만연한 신경중심주의(한마디로, 우리를 뇌 또는 중추신경계와 동일시하는 주장)에 맞서 인간의 본질과 자유를 규명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가브리엘은 데카르트, 칸트, 피히테, 프로이트 등 정신 철학의 거장들이 다뤄 온 의식, 자기의식, 《나》, 사유 등의 핵심 개념들을 정리하면서, 각각의 개념들이 어떤 사상가들에 의해 어떤 배경에서 만들어지고 어떻게 우리 어휘 안으로 진입했는지 따져 묻는다. 궁극적으로 가브리엘이 목표하는 바는 인간의 자유(자유 의지)를 옹호하는 데 있다. 인간은 무언가에 조종되는 꼭두각시가 아니다. 가브리엘은, 비단 뇌뿐 아니라 [신, 우주, 자연, 사회가 우리의 등 뒤에서 우리를 자유롭지 않게 만든다는 통념에 맞서] 인간이 철두철미하게 자유로운 존재임을 논증한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그 [자유]로부터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절대적인 가치, 곧 [인간 존엄]이 비롯한다고 확신한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