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유학과 동아시아 : 다른 근대의 길
유학과 동아시아 : 다른 근대의 길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7036494 93150 : \30000
- DDC
- 181.15-20
- 청구기호
- 181.15 나75ㅇ
- 저자명
- 나종석
- 서명/저자
- 유학과 동아시아 : 다른 근대의 길 / 나종석 [외] 엮음
- 발행사항
- 서울 : b, 2018
- 형태사항
- 607 p. ; 24 cm
- 주기사항
- 찾아보기: p. 595-603.
- 주기사항
- 공엮은이: 조경란, 신주백, 강경현
- 주기사항
- 수록필자: 강경현, 고희탁, 김상준, 깐춘송(千春松), 나종석, 류칭(刘擎), 신주백, 이혜경, 조경란, 천리성(陈立胜), 천샤오밍(陈少明), 혼마 쓰기히코(本間次彦)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571-594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수록
- 기금정보
- 이 책은 2008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학술연구조성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았음
- 기타저자
- 조경란
- 기타저자
- 신주백
- 기타저자
- 강경현
- 기타저자
- 고희탁
- 기타저자
- 김상준
- 기타저자
- 천춘송((千春松))
- 기타저자
- 류경((刘擎))
- 기타저자
- 이혜경
- 기타저자
- 진입성((陈立胜))
- 기타저자
- 진소명((陈少明))
- 기타저자
- 본간차언((本間次彦))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기타저자
- 깐춘송
- 기타저자
- 류칭
- 기타저자
- 천리성
- 기타저자
- 천샤오밍
- 기타저자
- 혼마 쓰기히코
- 가격
- \30000
- Control Number
- joongbu:543929
- 책소개
-
“신자유주의를 넘어서기 위한
동아시아 인문정신과의 대화”
이 책 ≪유학과 동아시아―다른 근대의 길≫은 연세대학교 인문한국(HK) 사업단에서 펴내는 ‘사회인문학’ 총서의 하나다. 4명의 편저자는 사회인문학을 구체화하기 위해 ‘사상리서치워킹그룹’(사상 팀)을 만들어 전통적인 인문정신을 기반으로 한국에서 근대성이 작동해온 방식과 동아시아적 근대를 연구하는 한편, 서구중심적인 사유의 패러다임을 비판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유학과 동아시아―다른 근대의 길≫은 사상 팀이 지난 4년간 수행해 온 연구를 집대성한 것으로 ‘유학과 동아시아의 근대성’이라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저서에 수록된 글들은 대략 다음 세 가지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우선 한국의 근대성 이론과 동아시아 인문정신, 특히 유교적 정치문화와의 상관성을 성찰하려는 문제의식이다. 이는 전통과 서구적 근대라는 이원론적 대립을 기저로 삼는 서구중심주의적 사유의 한계를 넘어 한국의 근대성을 새롭게 이해하려는 시도와 연관되어 있다. 두 번째 문제의식은 동아시아 인문정신의 전통이 지닌 현재성에 대한 탐색이다. 전근대적 사유방식이라는 이유로 배제된 동아시아 전통과 다시 만나려는 시도이다. 세 번째의 문제의식은 서구중심주의적 사유방식 자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다.
서구중심주의의 상대화 작업은 유교전통의 탈식민화의 작업과 동전의 양면처럼 결합되어 있다. 이에 대해 집필자들은 동아시아 인문정신과의 새로운 대화를 통해 동아시아의 유교전통이 서구 근대화의 장애물에 불과하다고 간주하는 ‘전통과 근대의 이분법’을 넘어 유교적 인문정신이 한중일 삼국의 근대성 형성에 어떤 방식으로 개입하고 있는지를 공동으로 탐구하고 연동시키려고 했다.
오늘날 한국사회를 포함하여 동아시아에 유교전통의 영향사가 지속되고 있다면, 그것은 동아시아의 근대가 서구적 근대와는 다른 근대의 길을 걷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역사적 경험에는 망각되거나 제대로 평가되지 못한 ‘세계와 사회에 대한 새로운 상상’이 꿈틀거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그것은 우리 시대가 마주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보다 더 나은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대상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의 제목이 ≪유학과 동아시아―다른 근대의 길≫로 정해진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