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선비의 답안지
선비의 답안지 / 김학수 외 지음
내용보기
선비의 답안지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58662868 03910 : \16000
DDC  
951.902-20
청구기호  
951.5 김92선
서명/저자  
선비의 답안지 / 김학수 외 지음
발행사항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
형태사항  
357 p. : 삽화 ; 20 cm
총서명  
고전탐독 ; 03 : 시권
주기사항  
공저자: 김동석, 문숙자, 박성호, 김덕수, 조융희, 심재우, 노인환, 한도현, 신익철, 안장리, 정수환, 정순우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 p. 350-352
기금정보  
이 책은 2015년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자료의 현대화 연구과제로 수행된 연구임
기타저자  
김학수
기타저자  
김동석
기타저자  
문숙자
기타저자  
박성호
기타저자  
김덕수
기타저자  
조융희
기타저자  
심재우
기타저자  
노인환
기타저자  
한도현
기타저자  
신익철
기타저자  
안장리
기타저자  
정수환
기타저자  
정순우
가격  
\16000
Control Number  
joongbu:541535
책소개  
시권(試券)이란 과거(科擧) 시험에서 선비들이 작성한 답안지를 말한다. 과거는 그동안 사극의 단골 소재였고, 우리에게는 익숙한 조선시대의 한 장면으로 남아 있다. 하지만 과거의 절차와 양식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이는 드물다. 이 책은 시권의 규정과 격식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과거 시험에 울고 웃었던 선비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시권은 예비 관료를 향해 국가가 던지는 질문에 대한 답인 동시에 유교 지식인인 응시자의 지식과 식견이 종횡으로 엮어져 있는 지적 대응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시권은 과거가 실시되던 당시의 정치적 고충과 국정 현안이 반영된 문제에 답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국가 경영을 위한 지적 총의(總意)의 공식적 수렴이었다. 조선은 경쟁의 나라였다. 같은 양반이라도 관직의 있고 없음은 인물평의 중요한 기준선이 되었고, 같은 관직에 있더라도 그 전에 거쳐온 길이 관운에 영향을 미쳤던 것이 현실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299986 951.5 김92선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299987 951.5 김92선 c.2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9호)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