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경복궁 시대를 세우다 : 새 권력은 왜 새 수도를 요구하였나
경복궁 시대를 세우다  : 새 권력은 왜 새 수도를 요구하였나 / 장지연 지음
Содержание
경복궁 시대를 세우다 : 새 권력은 왜 새 수도를 요구하였나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94606491 03900 : \17,000
DDC  
951.5
청구기호  
951.5 장78ㄱ
저자명  
장지연
서명/저자  
경복궁 시대를 세우다 : 새 권력은 왜 새 수도를 요구하였나 / 장지연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너머북스, 2018
형태사항  
308 p. : 삽화 ; 22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298-300)과 색인수록
전자적 위치 및 접속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가격  
\17000
Control Number  
joongbu:541321
책소개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앞둔 지금, 우리가 반드시 짚어야 할 역사! 정도전은 경복궁의 전각 이름을 통해 다양한 질문을 던졌다. 역사 속의 이상적인 군주는 누구인가? 그러한 군주가 되기 위해서 현재의 임금은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가? 권력은 어떻게 배분되어야 하는가? 이에 대한 그의 답변에는 바로 조선인들이 지향한 새로운 체제와 권력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권력이 행사되는 공간에 대한 고민이 묻어 있다. 경복궁은 이러한 시대정신을 담은 집이었다.

궁궐과 수도 계획 전반에 대해 연구해온 장지연(대전대 역사문화학과) 교수는 이 책에서 ‘새로운 권력과 그 권력이 행사되는 공간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문제의식으로 하여 경복궁과 한양의 초기 모습에 주목한다. 새 권력이 만든 공간이었기에 그 권력의 성격과 의도를 잘 드러내기 때문이다. 태조대의 한양천도와 정종대의 개경천도, 그리고 다시 태종대 한양 재천도의 과정을 통해 수도 한양과 법궁 경복궁은 제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나 기획은 기획일 뿐, 조선 건국자들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관철되지는 않았다. 저자의 역사를 보는 눈과 수사력은 그 ‘기획’과 ‘현실’ 사이에서 빛난다. 새 체제의 정당성과 유토피아에 대한 확신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늘 강력하였기에 어쩔 수 없이 동반되는 불확실성, 관성과 제약, 굴절까지, 이 책은 여말선초 새로운 시대를 치열하게 세웠던 당대인들의 역사적 경험을 섬세하게 들려준다.

장지연 교수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흔히 거론되는 구체제란 것이 불과 십 수 년, 길게 늘려 잡아 봐도 반세기 정도밖에 되지 않은 것임을 생각해 볼 때 조선인들이 맞닥뜨렸던 구체제의 두께가 얼마나 두꺼웠는지 익히 상상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구체제를 청산하며 새로운 권위를 세워 나간 과정이,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앞두고 비슷한 고민을 하는 우리에서 여러 시사점을 준다며 일독을 권한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моя папка
материал
Reg No.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статус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EM0299862 951.5 장78ㄱ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299863 951.5 장78ㄱ c.2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9호)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