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藏書閣所藏 古文書大觀. 8 : 복식패물발기류
藏書閣所藏 古文書大觀. 8 : 복식패물발기류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58662967 94910
- DDC
- 951.09 220
- 청구기호
- 951.09 한16자 v.8
- 서명/저자
- 藏書閣所藏 古文書大觀. 8 : 복식패물발기류 /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편찬
- 발행사항
-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7
- 형태사항
- 473 p. : 삽화 ; 31 cm
- 주기사항
- 연구책임: 박용만
- 주기사항
- 조사.기획: 박용만, 최주희
- 주기사항
- 해제: 최주희
- 주기사항
- 해설: 이민주, 김봉좌
- 주기사항
- 교열: 이정은
- 주기사항
- 사진: 한상빈, 김샘
- 기타저자
- 박용만
- 기타저자
- 이민주
- 기타저자
- 최주희
- 기타저자
- 김봉좌
- 기타저자
- 이정은
- 기타저자
- 한상빈
- 기타저자
- 김샘
- 기타저자
- 한국학중앙연구원.((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 장서각
- 기타서명
- 장서각소장 고문서대관
- Control Number
- joongbu:538037
- 책소개
-
이 책은 장서각에 소장된 총 950점의 발기(사람이나 물건의 이름 적어 놓은 목록) 가운데 의차발기, 금침발기, 주단 및 예물발기, 도침발기, 도련 발기, 보발기, 패물발기 등 172건을 소장처의 분류 순서에 따라 선별하여 수록하였다. 각 자료의 명칭과 연대, 크기를 밝히고 내용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국문으로 해설하였다. 복식발기자료인 ?장서각소장 고문서대관7?의 연장선상에서, 의복에 관련된 수식(首飾)과 각종 옷감?이불?보자기?패물로까지 발기자료의 외연을 확장하였다. 수록된 발기의 작성 시기는 순조대(1800~1834)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고, 그 내용은 특정 물품의 명칭과 수량으로 자료적 특성을 지닌다. 조선왕실의 꾸밈문화 등 주로 혼례와 관련된 물품에 관한 자료가 많이 수록되었고, 왕실 가례의 전체적인 흐름과 그에 필요한 물목을 세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차별성을 지닌다.
MARC
008180131s2017 ggka 000c kor■020 ▼a9791158662967▼g94910
■035 ▼a(KERIS)BIB000014370144
■082 ▼a951.09▼b220
■090 ▼a951.09▼b한16자▼cv.8
■24500▼a藏書閣所藏 古文書大觀▼n8▼p복식패물발기류▼d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편찬
■260 ▼a성남▼b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c2017
■300 ▼a473 p. ▼b삽화▼c31 cm
■50000▼a연구책임: 박용만
■50000▼a조사.기획: 박용만, 최주희
■50000▼a해제: 최주희
■50000▼a해설: 이민주, 김봉좌
■50000▼a교열: 이정은
■50000▼a사진: 한상빈, 김샘
■653 ▼a장서각▼a고문서
■7001 ▼a박용만
■7001 ▼a이민주
■7001 ▼a최주희
■7001 ▼a김봉좌
■7001 ▼a이정은
■7001 ▼a한상빈
■7001 ▼a김샘
■710 ▼a한국학중앙연구원. ▼b장서각▼q(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
■940 ▼a장서각소장 고문서대관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