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공공공간을 위하여 : 어떻게 우리의 공적 공간을 회복·지속·확장할 것인가
공공공간을 위하여 : 어떻게 우리의 공적 공간을 회복·지속·확장할 것인가
- Material Type
- 단행본
- ISBN
- 9788972978817 93300 : \18000
- DDC
- 307.76-20
- Callnumber
- 307.76 서66고
- 단체저자
- 서울대학교 SSK동아시아도시연구단
- Title/Author
- 공공공간을 위하여 : 어떻게 우리의 공적 공간을 회복·지속·확장할 것인가 / 서울대학교 SSK동아시아도시연구단 ; 김동완 엮음
- Publish Info
- 파주 : 동녘, 2017
- Material Info
- 327 p. : 삽도 ; 23 cm.
- General Note
- 글쓴이: 김동완, 김현철, 한윤애, 김동일, 지주형, 김경만, 황진태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308-327
- 기금정보
- 이 책은 2014년도 정부재원(교육부)으로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연구사업(SSK)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Public spaces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City and town life
- Added Entry-Personal Name
- 김동완
- Added Entry-Personal Name
- 김현철
- Added Entry-Personal Name
- 한윤애
- Added Entry-Personal Name
- 김동일
- Added Entry-Personal Name
- 지주형
- Added Entry-Personal Name
- 김경만
- Added Entry-Personal Name
- 황진태
- Electronic Location and Access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기타저자
- 서울대학교.. 에스에스케이동아시아도시연구단.
- Price Info
- \18000
- Control Number
- joongbu:535220
- 책소개
-
『공공공간을 위하여』의 저자 서울대학교 SSK동아시아도시연구단은 현재의 공공공간이 정치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전제하에 이 질문을 바꾼다. “공공공간에서 발화와 행위의 자유를 얻을 방법은 무엇인가? 국가와 자본권력의 개입으로 오염되고 변형된 공간을 시민들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돌려놓을 방법은 무엇인가?”, 이 책은 ‘날것’으로서의 공공공간, 그리고 반영토의 기획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것은 “탈영토나 탈주가 아닌 물리적 배제에 대한 직접행동, 공간에 설치된 기호와 규율을 비트는 문화적 실천, 연구자의 분석적 글쓰기 등 경계를 고발하고 해석하고 비틀고 재구성하는 일련의 실천”(14쪽)이며, 그것의 목적은 “경계 해체”다. 그와 같은 관점에서 책의 1부 ‘공공공간의 이상과 실천 전략’에서는 공적 공간의 공공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공공선을 위한 실천 전략을 다룬다. 뒤이어 2부 ‘반영토의 정치 실천’에서는 다섯 개의 경험 연구를 통해 한국의 국가와 자본이 공공공간을 다루는 방식, 그리고 그것에 대한 저항의 대안공간을 검토하고, 제도적으로 불허된 공간을 급진적으로 전유해 공공성을 회복시킨 정치적 실천 사례를 소개한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