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증오의 시대
증오의 시대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7354015 93910 : \32000
- DDC
- 952.5-20
- 청구기호
- 952.5 조65며홍
- 저자명
- 조완 , 1945-
- 서명/저자
- 증오의 시대 / 자오위안 지음 ; 홍상훈 옮김
- 발행사항
- 파주 : 글항아리, 2017
- 형태사항
- 663 p. ; 24 cm
- 총서명
- 명청 교체기 사대부 연구 ; 1
- 주기사항
- 부록: 사대부들의 경험에 나타난 명·청 교체기 언론 환경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와 참고문헌(p. 659-663) 수록
- 서지주기
- 주: p. 571-658
- 원저자/원서명
- 明清之际士大夫研究
- 일반주제명
- Intellectuals China
- 주제명-지명
- China Intellectual life 960-1644
- 주제명-지명
- China Intellectual life 1644-1912
- 기타저자
- 홍상훈 , 1965-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기타저자
- 자오위안
- 기타저자
- Zhao, Yuan
- 기타서명
- Ming Qing zhi ji shi da fu yan jiu
- 가격
- \32000
- Control Number
- joongbu:535106
- 책소개
-
『증오의 시대』는 명ㆍ청 교체기 사대부들의 심리와 그들의 생존방식을 방대하게 다룬 저작으로, 사대부들 사이의 서찰을 중점적으로 분석해 이후 연구의 초석을 닦은 이 분야 기념비적 연구다. 명ㆍ청 교체기는 명나라 한족이 청나라 만주족에게 나라를 넘겨준 시기다. 치욕과 자기모멸 속에서 증오가 끓었고 또다른 생존이 모색된 시기이기도 하다.
저자는 왕조 교체기 사대부들이 어떤 경험을 했고, 특히 어떤 부분을 반성했는지 주요 인물별로 다양하게 살펴보고 있다. 또한 왕조 교체기의 문화 현상으로 중국의 남과 북이 어떻게 달랐는지, 난세의 세족들은 어떤 방식으로 대처해나갔는지, 사회적 계급의 혼돈과 이에 대한 지식인들의 담론은 어땠는지 등을 연이어 추적해 들어간다. 그러면서 혼란의 전체상과 통제하려는 노력들의 구조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또한 건문제-방효유 사건 등 유명한 문자옥의 구조를 파헤쳤으며 청나라 정부의 언론에 대한 생각과 사대부들의 생각이 부딪히는 부분들도 정교하게 살펴본다. 무엇보다 이 책은 ‘유민遺民’(나라 잃은 백성)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만들어져서 유통되었는지를 살피고 있으며, 유민들의 생존방식을 불교로 도피하기, 삶과 죽음에 대한 재인식 등으로 논의하다가 유민들의 의고나, 교유, 생계, 장례제도 등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기도 한다. 아울러 유민으로서 지식인들이 보여준 삶의 절조와 그들의 학술적 업적까지 경학과 사학으로 나눠 조명하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моя папка
Reg No. |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 статус |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
---|---|---|---|---|
EM0297840 | 952.5 조65며홍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297841 | 952.5 조65며홍 c.2 |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9호)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