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조선시대 공공성 담론의 동학- [전자책]
조선시대 공공성 담론의 동학- [전자책]
- 자료유형
- 전자책
- 170710092056
- ISBN
- 9791158661649 94340 : \24000
- DDC
- 951.902-23
- 저자명
- 황태연
- 서명/저자
- 조선시대 공공성 담론의 동학 - [전자책] / 황태연 ; 나정원 ; 이원택 ; 전홍석 ; 김선희 ; 이나미 ; 구로즈미 마코토 ; 미타니 히로시 지음
- 발행사항
-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북큐브네트웍스, 2017))
- 형태사항
- 전자책 1책 : 천연색
- 총서명
- 문명과 가치 총서 ; 014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기금정보
- 2012년 한국학중앙연구원 글로벌시대 한국적 가치와 문명연구과제로 수행된 연구임(AKRS2012-G09)
- 일반주제명
- 조선 시대[朝鮮時代]
- 일반주제명
- 공공성[公共性]
- 기타저자
- 나정원
- 기타저자
- 이원택
- 기타저자
- 전홍석
- 기타저자
- 김선희
- 기타저자
- 이나미
- 기타저자
- 구로즈미 마코토
- 기타저자
- 미타니 히로시
- 기타형태저록
- 조선시대 공공성 담론의 동학. 9791158661649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기타저자
- 흑주진
- 기타저자
- 삼곡박
- 가격
- \24000
- Control Number
- joongbu:513866
- 책소개
-
이 책은 조선시대 역사를 공공성 개념을 중심으로 재해석한다. 조선시대 국가적 차원의 공공성 변화, 제도적·비제도적 측면의 공론장의 구조변동, 민(民)의 공공성 확대 등 조선시대 공공성의 영역을 국가와 관련된 공적 측면에 국한시키지 않고, 민의 공론적 참여를 포괄하는 다층적 개념으로 확장하여 살펴본다. 이러한 공공성 개념은 조선이 내재적 근대화의 터전을 닦아왔는지, 대한제국기 각종 개혁 정책들이 한국의 근대화를 이끈 공공성의 창출이었는지를 가늠하는 분석틀로 작용하고 있다. 이 책은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의 제14권이다.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
Reg No. | Call No. | emplacement | Status | Lend Info |
---|
* Les réservations sont disponibles dans le livre d'emprunt. Pour faire des réservations, S'il vous plaît cliquer sur le bouton de ré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