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연세- [전자책]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연세- [전자책]
- 자료유형
- 전자책
- 170403165844
- ISBN
- 9791157070848 94910 : \40000
- DDC
- 362.1109-23
- 단체저자
-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 서명/저자
-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연세 - [전자책] /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 최재건 ; 양현혜 ; 여인석 ; 김도형 ; 반병률 ; 장규식 ; 송인호 ; 송석기 ; 신규환 엮음
- 발행사항
- 서울 : 역사공간, 2016( (아카디피아, 2016 ))
- 형태사항
- 전자책 1책 : 천연색
- 총서명
- 연세의학사총서 ; 6
- 주기사항
- 권말부록: 제중원-세브란스 외국인 인물 약전 ; 제중원-세브란스 한국인 인물 약전
- 주제명-단체
- 제중원[濟衆院]
- 기타저자
- 최재건
- 기타저자
- 양현혜 , 1961-
- 기타저자
- 여인석 , 1965-
- 기타저자
- 김도형 , 1953-
- 기타저자
- 반병률
- 기타저자
- 장규식 , 1964-
- 기타저자
- 송인호 , 1957-
- 기타저자
- 송석기
- 기타저자
- 신규환 , 1970-
- 기타형태저록
-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연세. 9791157070848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40000
- Control Number
- joongbu:507302
- 책소개
-
이 책은 연세 창립 130주년을 기념한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제1부에서는 제중원의 성립과 발전과정, 제2부에서는 제중원의 의학교육과 언더우드, 알렌의 교육활동, 제3부에서는 독립운동, 교육·사회운동의 전개, 제4부에서는 한국 건축사의 시각에서 바라본 제중원, 세브란스의 공간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한국 최초의 서양식 근대병원인 제중원은 단순히 근대병원의 시작이라는 점에만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제중원은 한국의 정치, 외교, 경제, 사회, 문화, 종교, 언어, 교육, 과학, 의학 등 다양한 방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제중원은 연희와 세브란스의 기원이기도 하며, 선교사와 의료선교사들의 협력의 산물이기도 하다. 알렌과 언더우드, 그리고 에비슨의 협력은 한국 최초의 고등교육기관인 종합대학을 창립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졌고, 일제의 갖은 방해와 핍박, 한국전쟁이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으면서도 연세대학교의 출범으로 결실을 맺었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моя папка
Reg No. |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 статус |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
---|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