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중국은 어떻게 서양을 읽어왔는가 :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상계의 백화제방
중국은 어떻게 서양을 읽어왔는가 :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상계의 백화제방 / 왕첸(王前) 지음 ;...
Contents Info
중국은 어떻게 서양을 읽어왔는가 :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상계의 백화제방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7354084 93100 : \18000
DDC  
181.29-20
청구기호  
181.29 왕74ㅈ홍
저자명  
왕전 , 1967-
서명/저자  
중국은 어떻게 서양을 읽어왔는가 :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상계의 백화제방 / 왕첸(王前) 지음 ; 홍성화 옮김
발행사항  
파주 : 글항아리, 2017
형태사항  
310 p. : 삽화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281-284) 및 색인(p. 303-310) 수록
내용주기  
새로운 계몽 시대의 개막 : 『독서讀書』 창간과 휴머니즘의 복권 -- 막스 베버의 재발견 : 「출토문물」의 운명 -- 이채를 띤 현대 독일 철학 -- 서구 마르크스주의 ‘시마西馬’ : 프랑크푸르트학파를 중심으로 -- 일본은 대단한 나라인가 : 1990년대 중국에서의 후쿠자와 유키치 -- 새로운 계몽 시대 : 1980년대에 관한 하나의 총괄 -- 인기 학문이 된 현상학 -- 리쾨르와 레비스트로스 : 프랑스 노대가의 본격적인 등장 -- 푸코 수용의 ‘도착’과 가능성 -- 해체와 중국 : 데리다의 중국 방문이 가져다준 충격 -- 시마西馬’ 재래 : 하버마스와 중국 사상계 -- 자유와 정의에 대한 열정적인 사고 : 하이에크, 벌린, 롤스 -- 거울로서의 현대 일본 사상 : 마루야마 마사오의 수용 -- 주목받는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자들 : 카를 슈미트와 레오 스트라우스
원저자/원서명  
中国が読んだ現代思想
기타저자  
홍성화
전자적 위치 및 접속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기타저자  
왕첸 , 1967-
가격  
\18000
Control Number  
joongbu:506959
책소개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서양 학문을 읽어온 한국과는 달리 중국은 20여년이나 더 늦게 이런 사상적 추격에 나설 수 있었다. 문화대혁명(1966~1976)이라는 사상금제령 때문이다. 그래서 20세기 중국 현대사상은 마르크스·엥겔스로 귀납되는 하나의 이미지가 형성되었다. 그런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이번에 번역된 『중국은 어떻게 서양을 읽어왔는가』에서 저자는 규모나 내용 등에서는 한국, 일본에 비해 상당히 늦지만 실은 중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서양 사상을 반복적으로 흡수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지금도 계속 그 사상을 소화해가고 있다. 전대미문이라고밖에 말할 수 없는 문화대혁명 초기를 제외하면 외국철학이나 사상에 대한 연구가 단절된 적은 없었다. 학계에서는 아직까지 풋내기였던 청년 데리다가 헤겔 철학을 해체했던 논문도 문화대혁명 시기의 중국에 소개되었다. 『중국은 어떻게 서양을 읽어왔는가』는 일본에서 활동하는 중국인 학자가 중국의 사상적 개혁개방의 상징인 《독서》의 창간부터 현재까지 약 30여 년 동안 중국 지식인들이 서양의 현대사상을 어떻게 읽고 수용했는지를 다루고 있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התיקיה שלי
גשמי
Reg No. Call No. מיקום מצב להשאיל מידע
EM0288035 181.29 왕74ㅈ홍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288036 181.29 왕74ㅈ홍 c.2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4호)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הזמנות זמינים בספר ההשאלה. כדי להזמין, נא לחץ על כפתור ההזמנה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