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황국사관과 고려 말 왜구 : 일본 근대 정치의 학문 개입과 역사 인식
황국사관과 고려 말 왜구 : 일본 근대 정치의 학문 개입과 역사 인식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20017773 93910 : \19000
- DDC
- 951.49-20
- 청구기호
- 951.49 이64ㅎ
- 저자명
- 이영 , 1959-
- 서명/저자
- 황국사관과 고려 말 왜구 : 일본 근대 정치의 학문 개입과 역사 인식 / 이영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에피스테메, 2015
- 형태사항
- 404 p. : 삽화 ; 25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391-397) 및 색인 (p. 398-404) 수록
- 내용주기
- 황국사관과 왜구 왜곡 -- 조선사편수관 나카무라 히데다카의 왜구 패러다임과 일본의 왜구 연구 -- 왜구 왜곡의 정치적 배경과 14~15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인식 -- 황국사관과 왜구 왜곡: 나카무라 히데다카의 왜구 왜곡의 배경에 관한 한 고찰 -- 나카무라 히데다카의 왜구 서술의 논리적 전개와 문제점:『일본과 조선』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 국제정세 변동과 고려 말 왜구 -- ‘경인년 이후의 왜구’와 마쓰라토: 우왕 2~3년(1376~1377)의 왜구를 중심으로 -- 고려 말 왜구의 단계별 침구 양상과 고려의 대응 -- 14세기의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왜구: 공민왕 15년(1366)의 금왜사절의 파견을 중심으로 -- 원·명의 교체와 왜구: 공민왕 15년(1366) 금왜사절에 대한 일본의 대응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왜구: 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초를 중심으로
- 일반주제명
- 고려 시대[高麗時代]
- 일반주제명
- 한일 관계사[韓日關係史]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19000
- Control Number
- joongbu:501741
- 책소개
-
10년 넘게 왜구 연구에 천착하여 일본 역사학계의 왜구 왜곡실태를 분석하고 비판해 온 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이영 교수의 논문 9건을 모아 출간한다. 왜구는 14~16세기에 걸쳐 우리나라와 중국 해안에서 약탈을 일삼던 일본 해적집단을 일컫는다. 특히 고려 말기(14세기)에 기승을 부려 고려왕조 멸망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그렇다면 7세기가 흐른 오늘날 왜구 연구는 어떤 의의를 갖는가? 일본 역사학계는 어떤 의도로 왜구의 실체를 왜곡시켜 왔는가? 왜구를 통해 14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재구성하는 작업이 21세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 인식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제1부에서는 일본의 왜구 연구와 역사 인식이 황국사관이라는 근대 지배 이데올로기에 의해 어떻게 왜곡되어 왔는지를 집중 조명한다. 제2부에서는 제1부에서 규명한 일본 학계의 왜곡된 왜구상의 시정을 토대로 고려 말 왜구가 당시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지녔는지 살펴본다.
詳細情報
- 予約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私のフォル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