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고고층서학의 기본원칙
고고층서학의 기본원칙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5617886 93900 : \17000
- DDC
- 930.1-20
- 청구기호
- 930.1 H313p2이
- 서명/저자
- 고고층서학의 기본원칙 / 에드워드 C. 해리스 지음 ; 이선복 옮김
- 판사항
- 제2판
- 발행사항
- 서울 : 사회평론, 2016
- 형태사항
- 220 p. : 삽도 ; 26 cm
- 총서명
- 고고학 핸드북 시리즈 ; 4
- 주기사항
- a원저자명: Edward C. Harris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213-220.
- 일반주제명
- 고고학[考古學]
- 일반주제명
- 유적 발굴[遺蹟發掘]
- 기타저자
- 이선복 , 1957-
- 통일총서명
- 고고학 핸드북 시리즈 ; 4
- 기타저자
- 해리스, 에드워드 C.
- 가격
- \17000
- Control Number
- joongbu:497588
- 책소개
-
고고학 핸드북 시리즈 4권. 고고학 유적의 발굴에 적용되는 고고층서학의 기본원칙과 기록 방법 등을 자세하게 다룬 이 분야 최초의 교과서적 저작이다. 저자는 사람의 행위에 의해 형성된 층서의 해석에 자연적 퇴적층, 즉 지질학적 층으로 구성된 유적 층서를 분석하는 지질층서학의 원칙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잘못을 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1979년 초판 발간 이래 비판자들에 맞서 10년간 여러 사례를 통해 내용을 보완하고 가다듬은 제2판의 번역서이다.
책의 처음 네 장은 지질학과 고고학에서 사용하는 층서의 개념과 고고학 발굴과 기록 방법의 변화를 학사적으로 개괄한 것이다. 5장에서는 초판에서 여기저기 흩어져 설명한 고고층서학의 네 가지 법칙을 모아서 설명하였는데, 이 장에서는 필요에 따라 해리스매트릭스와 층서의 의미와 관련된 생각도 설명하였다. 6장과 7장은 쌍을 이루는 내용으로서, 고고층서에서의 퇴적층 및 퇴적층 사이의 경계선, 다시 말해 퇴적층의 표면을 뜻하는 경계면과 관련된 생각들을 다루고 있다.
8장과 9장은 단면과 평면을 기록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이어 10장과 11장에서는 시기구분에 필요한 단계의 설정 및 층의 순서와 관계된 유물 분석의 개요를 다룬다. 끝으로 마지막 장에서는 훈련을 쌓지 못한 평균 초심자도 주어진 방법을 부지런히 그대로 따르기만 하면 발굴에서 층서를 사실적으로 확실히 파악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간단한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התיקיה של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