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반도와 4대 강국
한반도와 4대 강국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46059252 93340 : \49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DDC
- 327.51-23
- 청구기호
- 327.51 K49t김
- 저자명
- Kim, Samuel S. , 1935-
- 서명/저자
- 한반도와 4대 강국 / 새뮤얼 킴 지음 ; 김병로 옮김
- 발행사항
-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6
- 형태사항
- 541 p. : 표 ; 24 cm
- 총서명
- 한울아카데미 ; 1925
- 주기사항
- 본서는 "The two Koreas and the great powers. 2006."의 번역서임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482-532)과 색인수록
- 원저자/원서명
- Two Koreas and the great powers
- 일반주제명
- World politics 21st century
- 주제명-지명
- East Asia Foreign relations
- 기타저자
- 김병로 , 1968-
- 기타저자
- 킴, 새뮤얼 , 1935-
- 기타서명
- 한반도와 사대강국
- 가격
- \49000
- Control Number
- joongbu:497260
- 책소개
-
생존과 번영, 남북한 통일까지, 국제관계 퍼즐로 풀어가는 한반도의 현대사
우리가 사는 한반도는 휴전 중이다. 최근의 남북관계 뉴스를 보고 있으면 전쟁이 언제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게 느껴진다. 지난 60여 년 생존을 위해, 더욱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기 위해 끊임없이 분투해온 두 개의 한국, 이제는 갈등의 정점에 와 있는 듯하다. 어쩌다 이런 상황까지 왔을까? 과연 한반도의 미래는 어디를 향하고 있는 걸까?
한반도와 주변 강대국의 관계를 살피면 그 답에 접근할 수 있다. 사람이 공동체 없이 자신을 정의할 수 없듯, 국가도 그러하기 때문이다. 두 개의 한국 역시 세계 정치 속 다른 집단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국가 정체성을 발전시켜왔다. 대표적인 국가로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을 꼽을 수 있다. 그리고 아마도 가장 중요한, 휴전선 너머의 서로가 있다.
『한반도와 4대 강국』은 이들 각각의 관계를 분석한 책이다. 그간 출간된 다른 번역서와 달리 국제정치학자의 정통 개론서라는 점이 눈여겨볼 만하다. 저자는 통계와 자료를 바탕으로 객관적이며 담담하게 한반도와 4대 강국의 관계를 서술한다. 특히 탈냉전 이후의 역사와 외교 정책 추이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우리는 국제정치의 이론과 현실을 담은 이 책을 통해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 관계를 균형적으로 바라보고 미래를 조망할 관점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