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현황과 정책과제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현황과 정책과제
- Material Type
- 단행본
- ISBN
- 9788984913271 94330 : \12500
- ISBN
- 9788984913233(세트)
- DDC
- 303.482-20
- Callnumber
- 303.482 민36ㄷ
- Author
- 민무숙
- Title/Author
-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현황과 정책과제 / 민무숙 연구책임
- Publish Info
-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 Material Info
- xv, 224 p. : 삽화, 도표 ; 25 cm
- Added Entry-Title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09-28-04
- 총서명
-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 3
- 총서명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2009-6-3
- General Note
- 공동연구자: 김이선, 이춘아, 이소영
- General Note
- 권말부록: 1. 기관 유형별 분석 결과, 2. 심층면접조사 대상자, 3. 설문지 수록
- General Note
- 권호는 임의로 부여함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와 참고문헌(p. 203-208) 수록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기증
- Added Entry-Personal Name
- 김이선
- Added Entry-Personal Name
- 이춘아
- Added Entry-Personal Name
- 이소영
- Added Entry-Corporate Name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Added Entry-Corporate Name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Series Added Entry-Uniform Title
- 연구보고서(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09-6-3
- 기타저자
-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총서명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09-28-04
- 총서명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2009-6-3
- Price Info
- \12500
- Control Number
- joongbu:495328
- 책소개
-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변화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정책적 의제와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게 되었다. 양 문화간 중간 매개자 혹은 소통자 역할을 하고 있는 다문화 전문인력의 역할과 역량에 주목하여, 외국의 사례탐구와 양성 실태 및 다문화 전문인력의 인식과 경험을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도출하고 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