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세대간 고용대체 가능성 연구
세대간 고용대체 가능성 연구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73568406 93330 : \12000
- DDC
- 331.1-20
- 청구기호
- 331.1 안76ㅅ
- 저자명
- 안주엽
- 서명/저자
- 세대간 고용대체 가능성 연구 / 한국노동연구원 [편] ; 안주엽 연구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236 p. : 도표 ; 23 cm
- 총서명
- 연구보고서 ; 2011-03
- 기타저자
- 한국노동연구원
- 통일총서명
- 연구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 2011-03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12000
- Control Number
- joongbu:495156
- 책소개
-
지난 30여 년의 시계열자료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청년층과 고령층 간에 고용대체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사실을 밝힌 후, 세대간 직종분리를 측정하는 세대 간 직종격리지수를 정의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세대간 직종경합보다는 직종분업의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고령층 고용 혹은 정년연장이 청년층 실업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MARC
008161129s2011 ulkd 000c kor■020 ▼a9788973568406▼g93330▼c\12000
■035 ▼a(KERIS)BIB000012393922
■082 ▼a331.1▼220
■090 ▼a331.1▼b안76ㅅ
■1001 ▼a안주엽
■24510▼a세대간 고용대체 가능성 연구▼d한국노동연구원 [편]▼e안주엽 연구
■260 ▼a서울▼b한국노동연구원▼c2011
■300 ▼a236 p.▼b도표▼c23 cm
■49010▼a연구보고서▼v2011-03
■653 ▼a고용대체▼a노동시장
■710 ▼a한국노동연구원
■830 0▼a연구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v2011-03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2393922
■9500 ▼b\1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