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일본의 대외 전쟁 : 16~19세기 일본 문헌에 나타난 전쟁 정당화 논리
일본의 대외 전쟁 : 16~19세기 일본 문헌에 나타난 전쟁 정당화 논리 / 김시덕 지음
내용보기
일본의 대외 전쟁 : 16~19세기 일본 문헌에 나타난 전쟁 정당화 논리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32917931 93910 : \28000
DDC  
327.5305-20
청구기호  
327.5305 김58ㅇ
저자명  
김시덕 , 1975-
서명/저자  
일본의 대외 전쟁 : 16~19세기 일본 문헌에 나타난 전쟁 정당화 논리 / 김시덕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열린책들, 2016
형태사항  
557 p. : 삽화, 연표 ; 23 cm
주기사항  
연표: p. [537]-557
서지주기  
이 책에서 언급되는 주요 문헌: p. 473-484
서지주기  
주: p. 485-536
원저자/원서명  
異国征伐戦記の世界 :
수상주기  
제4회 일본 고전 문학 학술상, 2011
수상주기  
제5회 석헌 학술상, 2015
일반주제명  
Culture conflict Japan History To 1500
주제명-지명  
Japan Relations East Asia
주제명-지명  
East Asia Relations Japan
기타서명  
Ikoku seibatsu senki no sekai : Kan Hantō, Ryūkyū Rettō, Ezochi = On just war theory in premodern East Asia
가격  
\28000
Control Number  
joongbu:491119
책소개  
일본 근세 문헌 연구자인 김시덕 교수의 첫 연구서로, 지난 2011년 일본에서 출간했던 <이국 정벌 전기의 세계(異征伐記の世界)>를 한국어로 옮긴 것이다. 김 교수는 이 책으로 일본 국문학연구자료관 찬조회가 40세 미만 일본 고전 문학 연구자들에게 수여하는 일본 고전 문학 학술상을 외국인으로는 최초로 수상해 화제가 된 바 있다.



국문학연구자료관 교수 오치아이 히로시는 "이국 정벌 전기의 저류를 흐르는 논리를 지적한 것으로서 중요"하며 "이국 정벌 기록의 전개와 변용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 점에서, 향후 이국 정벌 전기 연구의 기초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고 수여 이유를 밝혔다. 또한 2015년에는 한국 동방문학비교연구회의 석헌 학술상를 수상함으로써 한일 양국의 학계로부터 공히 그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이 책은 역사학자 구와타 다다치카와 일본 근세 문학 연구의 태두 나카무라 유키히코의 연구를 기초로, 전쟁의 문헌학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일본 근세 문학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선 정벌(임진왜란), 시마즈 가문의 유구 왕국 정복, 진구코고의 삼한 정벌 전설, 그리고 일본, 에조, 러시아의 세 집단이 에조치를 무대로 전개한 충돌 등을 기록한 16~19세기 문헌들을 망라하여 고찰함으로써, 근세기 일본이 벌인 여러 침략 전쟁들이 일본 내에서 정당한 전쟁으로 재생산되어 기억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저자는 이들 문헌으로부터 공격의 논리와 방어.반격의 논리라는 두 가지 전쟁 정당화 논리를 도출하고, 현대 일본의 이른바 황국 의식의 원류를 여기서 찾을 수 있음을 지적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275854 327.5305 김58ㅇ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275855 327.5305 김58ㅇ c.2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4호)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