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언어학에서 인문언어학으로
언어학에서 인문언어학으로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6402597 93700 : \16000
- DDC
- 401-20
- 청구기호
- 401 연54언
- 서명/저자
- 언어학에서 인문언어학으로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엮음
- 발행사항
- 서울 : 박이정, 2015
- 형태사항
- 283 p. : 삽화, 도표 ; 23 cm
- 총서명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인문언어학총서 ; 4
- 주기사항
- 집필진: 서상규, 유현경, 강현화, 김향희, 변주영, 신지철, 김덕용, 송현주, 김은영, 김영희, 박애경, 임성모
- 서지주기
-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및 설명적 각주 수록
- 기금정보
- 이 총서는 2009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성과임
- 기타저자
- 서상규
- 기타저자
- 유현경
- 기타저자
- 강현화
- 기타저자
- 김향희
- 기타저자
- 변주영
- 기타저자
- 신지철
- 기타저자
- 김덕용
- 기타저자
- 송현주
- 기타저자
- 김은영
- 기타저자
- 김영희
- 기타저자
- 박애경
- 기타저자
- 임성모
- 기타저자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Control Number
- joongbu:479011
- 책소개
-
이 책은 "복합지식의 창출과 소통을 위한 인문언어학"을 표방하며 출발한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인문한국(HK)사업단이 수행한 연구의 결실이다. 인문한국사업단은 생득적이고 보편적인 인간 언어능력의 법칙과 인지 구조의 해명을 목표로 삼아 언어학 고유의 연구방법론을 개발하는 가운데, 한국인이 산출해 낸 무수한 텍스트를 기반으로 인간과 사회, 담론과 담화, 역사와 현대성을 규명하는 인문사회과학의 여러 분야들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학문적 의제, 방법론,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인문한국사업단의 성찰과 확장의 도정을 "언어학의 성찰, 쟁점과 과제", "언어와 인간, 지평의 확대", "이야기와 공동체, 문화와 역사"라는 세 갈래로 묶어낸 것이다.
제1부는 문어, 규범 문법, 일국적 시야의 언어 교육 중심의 연구방법론을 넘어서고자 하는 언어학의 자기 성찰과 새로운 연구 분야에 대한 제안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