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 사회학의 미래 : 사회학의 위기진단과 미래전망
한국 사회학의 미래 : 사회학의 위기진단과 미래전망 / 조대엽 ; 신광영 외 지음
내용보기
한국 사회학의 미래 : 사회학의 위기진단과 미래전망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30088213 94330 : \28000
ISBN  
9788930080019 (세트)
DDC  
301.0951-20
청구기호  
301.0951 조23ㅎ
저자명  
조대엽
서명/저자  
한국 사회학의 미래 : 사회학의 위기진단과 미래전망 / 조대엽 ; 신광영 외 지음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15
형태사항  
583 p. : 도표 ; 23 cm
총서명  
고려대 한국사회연구소 연구총서 ; 5
주기사항  
공저자: 김동노, 김문조, 김영정, 김환석, 박재묵, 윤영민, 이병훈, 이성식, 이재경, 이혜경, 정근식, 조병희, 조한범, 한준, 함인희
주기사항  
(The) future of Korean sociology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기타저자  
신광영
기타저자  
김동노
기타저자  
김문조
기타저자  
김영정
기타저자  
김환석
기타저자  
박재묵
기타저자  
윤영민
기타저자  
이병훈
기타저자  
이성식
기타저자  
이재경
기타저자  
이혜경
기타저자  
정근식
기타저자  
조병희
기타저자  
조한범
기타저자  
한준
기타저자  
함인희
Control Number  
joongbu:443421
책소개  
한국 사회학은 어디쯤이며 어디로 흘러갈 것인가?
과거를 통해 현재의 위기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사회의 격변 앞에 초라했던 사회학

1990년대, 세계는 격랑에 휩쓸렸다.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의 오랜 대립에서 사회주의는 1970년대부터 한계를 드러냈다.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는 사회주의 해체의 상징이었다. 결국 사회주의를 지탱하던 사회과학 패러다임은 1990년대 초 연방의 붕괴와 함께 해체되었다. 그 무렵 김일성 주석의 사망과 이어진 외환위기는 한국 사회를 격랑 속으로 몰아넣었다. 더불어 탈냉전, 탈근대, 지구화, 정보화 등의 격변 속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이 늦어지며 사회학은 긴 위기를 맞았다. 그래서 한국 사회학의 지난 성과를 정리하고 새로운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 고려대 사회학과와 한국사회연구소 주관으로 학술대회를 열었으며 그 성과를 정리해 단행본으로 엮었다.

이 책은 김문조 교수의 기조발표문을 시작으로 그 외 총 16편의 논문을 4부 16장으로 구성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258262 301.0951 조23ㅎ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258263 301.0951 조23ㅎ c.2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4호)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