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78789165 93810 : \30,000
- DDC
- 809-20
- 청구기호
- 810.9 최42ㄷ
- 저자명
- 최박광
- 서명/저자
-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 최박광 편
- 발행사항
- 서울 : 박이정, 2007
- 형태사항
- 682 p. : 삽도 ; 23 cm
- 내용주기
- 완전내용개항도시화(開港都市化)에 있어서의 인천의 문화적 표상 / 최박광. - 동아시아 삼국에서의 『정등신화(前燈新話)』 존재 양상 / 엄기주. - 동아시아 전기소설에 나타난 생사관의 미학 / 이학주. - 한중 시론의 미학 / 김병국. - 조선조 평점본소설에 있어서의 김성탄 문학비평 수용 향상 / 한매. - 개화기 시가에 끼친 양계초의 영행 / 우림걸. - 한·일 신혼가요(新婚歌謠)의 특성 비교 / 허남춘. - 중세후기, 이념적 위기에 대한 한·일의 대응 양상 / 김창현. - 신소설 속에 나타난 근대문물의 수용 양상 / 이상희. - 유길준(兪吉濬) 한시문집에 나타난 대외(對外) 의식 / 허성일. - 19세기 조선의 서구 문화변용에 관한 비교 문화적 고찰 / 이노미 - 개화기 「경향신문」 연재소설과 프랑스 문학 수용 / 박수미. - 한국 교회건축 양식의 변천과 다중(多衆)적 의식 / 김효중. - 신화 기술(記述)의 다양성과 신화의 의미 / 김영남. - 최해(崔瀣) 산문의 서술적 특성 / 김현숙. - 근대 독자의 형성과 재화(再話)소설 / 김현지. - 근대 미디어 전파와 공동청취(共同聽取) / 엄현섭. - 북한에서의 구비문학 장르의 인식과 관점 / 김문태. - 한ㆍ일의 경계에 선 재일 작가 / 박종명. - 근대 한국 이주 일본인들의 한국문학 번역고 유교적 지의 변용 / 허석. - 일본의 '예술대중화 논쟁'과 '대중' / 신인섭. - 일본 근대 문학에 있어서의 '여성'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 김주영. - 천황제 일본 국가에 있어서의 증여의 사상 / 황호덕. - 정보지식으로서의 일본어 / 김경호
- 기타저자
- 엄기주 ; 동아시아 삼국에서의 『정등신화』 존재 양상
- 기타저자
- 이학주 ; 동아시아 전기소설에 나타난 생사관의 미학
- 기타저자
- 김병국 ; 한중 시론의 미학
- 기타저자
- 한매 ; 조선조 평점본소설에 있어서의 김성탄 문학비평 수용 향상
- 기타저자
- 우림걸 ; 개화기 시가에 끼친 양계초의 영행
- 기타저자
- 허남춘 ; 한·일 신혼가요의 특성 비교
- 기타저자
- 김창현 ; 중세후기, 이념적 위기에 대한 한·일의 대응 양상
- 기타저자
- 이상희 ; 신소설 속에 나타난 근대문물의 수용 양상
- 기타저자
- 허성일 ; 유길준 한시문집에 나타난 대외 의식
- 기타저자
- 이노미 ; 19세기 조선의 서구 문화변용에 관한 비교 문화적 고찰
- 기타저자
- 박수미 ; 개화기 「경향신문」 연재소설과 프랑스 문학 수용
- 기타저자
- 김효중 ; 한국 교회건축 양식의 변천과 다중적 의식
- 기타저자
- 김영남 ; 신화 기술의 다양성과 신화의 의미
- 기타저자
- 김현숙 ; 최해 산문의 서술적 특성
- 기타저자
- 박성태 ; 조선시대 「열녀전」의 수용과 변용 양상
- 기타저자
- 김현지 ; 근대 독자의 형성과 재화소설
- 기타저자
- 엄현섭 ; 근대 미디어 전파와 공동청취
- 기타저자
- 김문태 ; 북한에서의 구비문학 장르의 인식과 관점
- 기타저자
- 박종명 ; 한ㆍ일의 경계에 선 재일 작가
- 기타저자
- 허석 ; 근대 한국 이주 일본인들의 한국문학 번역고 유교적 지의 변용
- 기타저자
- 신인섭 ; 일본의 '예술대중화 논쟁'과 '대중'
- 기타저자
- 김주영 ; 일본 근대 문학에 있어서의 '여성'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 기타저자
- 황호덕 ; 천황제 일본 국가에 있어서의 증여의 사상
- 기타저자
- 김경호 ; 정보지식으로서의 일본어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30,000
- Control Number
- joongbu:439701
- 책소개
-
[머리말]
본서는 동아시아적 시야를 견지하면서 어떻게 하면 한국의 문화를 연구하는 새로운 관점을 확보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필자들의 고뇌의 산물이다. 중국, 일본과의 문화 교류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우리 문화의 독창성을 찾는 것에 초점이 모아져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이러한 작업이 자국의 문화적 아이덴티티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을 인식하고 상호 이해의 기반을 구축해 온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선학들의 연구 기반 위에서 근대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 동아시아란 단일 문화 공동체 속에서 한국의 문화를 새롭게 조명하려는 시도가 본서의 중심적인 목표이다.
MARC
008160120s2007 ulka 000c kor■020 ▼a9788978789165▼g93810▼c\30,000
■035 ▼a(KERIS)BIB000010864503
■082 ▼a809▼220
■090 ▼a810.9▼b최42ㄷ
■1001 ▼a최박광
■24500▼a동아시아의 문화표상▼d최박광 편
■260 ▼a서울▼b박이정▼c2007
■300 ▼a682 p. ▼b삽도▼c23 cm
■50000▼z기증 : 학술전자출판협동조합(2015.12.09)
■50502▼a개항도시화(開港都市化)에 있어서의 인천의 문화적 표상 / 최박광. - 동아시아 삼국에서의 『정등신화(前燈新話)』 존재 양상 / 엄기주. - 동아시아 전기소설에 나타난 생사관의 미학 / 이학주. - 한중 시론의 미학 / 김병국. - 조선조 평점본소설에 있어서의 김성탄 문학비평 수용 향상 / 한매. - 개화기 시가에 끼친 양계초의 영행 / 우림걸. - 한·일 신혼가요(新婚歌謠)의 특성 비교 / 허남춘. - 중세후기, 이념적 위기에 대한 한·일의 대응 양상 / 김창현. - 신소설 속에 나타난 근대문물의 수용 양상 / 이상희. - 유길준(兪吉濬) 한시문집에 나타난 대외(對外) 의식 / 허성일. - 19세기 조선의 서구 문화변용에 관한 비교 문화적 고찰 / 이노미 - 개화기 「경향신문」 연재소설과 프랑스 문학 수용 / 박수미. - 한국 교회건축 양식의 변천과 다중(多衆)적 의식 / 김효중. - 신화 기술(記述)의 다양성과 신화의 의미 / 김영남. - 최해(崔瀣) 산문의 서술적 특성 / 김현숙. - 근대 독자의 형성과 재화(再話)소설 / 김현지. - 근대 미디어 전파와 공동청취(共同聽取) / 엄현섭. - 북한에서의 구비문학 장르의 인식과 관점 / 김문태. - 한ㆍ일의 경계에 선 재일 작가 / 박종명. - 근대 한국 이주 일본인들의 한국문학 번역고 유교적 지의 변용 / 허석. - 일본의 '예술대중화 논쟁'과 '대중' / 신인섭. - 일본 근대 문학에 있어서의 '여성'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 김주영. - 천황제 일본 국가에 있어서의 증여의 사상 / 황호덕. - 정보지식으로서의 일본어 / 김경호
■7001 ▼a엄기주▼t동아시아 삼국에서의 『정등신화』 존재 양상
■7001 ▼a이학주▼t동아시아 전기소설에 나타난 생사관의 미학
■7001 ▼a김병국▼t한중 시론의 미학
■7001 ▼a한매▼t조선조 평점본소설에 있어서의 김성탄 문학비평 수용 향상
■7001 ▼a우림걸▼t개화기 시가에 끼친 양계초의 영행
■7001 ▼a허남춘▼t한·일 신혼가요의 특성 비교
■7001 ▼a김창현▼t중세후기, 이념적 위기에 대한 한·일의 대응 양상
■7001 ▼a이상희▼t신소설 속에 나타난 근대문물의 수용 양상
■7001 ▼a허성일▼t유길준 한시문집에 나타난 대외 의식
■7001 ▼a이노미▼t19세기 조선의 서구 문화변용에 관한 비교 문화적 고찰
■7001 ▼a박수미▼t개화기 「경향신문」 연재소설과 프랑스 문학 수용
■7001 ▼a김효중▼t한국 교회건축 양식의 변천과 다중적 의식
■7001 ▼a김영남▼t신화 기술의 다양성과 신화의 의미
■7001 ▼a김현숙▼t최해 산문의 서술적 특성
■7001 ▼a박성태▼t조선시대 「열녀전」의 수용과 변용 양상
■7001 ▼a김현지▼t근대 독자의 형성과 재화소설
■7001 ▼a엄현섭▼t근대 미디어 전파와 공동청취
■7001 ▼a김문태▼t북한에서의 구비문학 장르의 인식과 관점
■7001 ▼a박종명▼t한ㆍ일의 경계에 선 재일 작가
■7001 ▼a허석▼t근대 한국 이주 일본인들의 한국문학 번역고 유교적 지의 변용
■7001 ▼a신인섭▼t일본의 '예술대중화 논쟁'과 '대중'
■7001 ▼a김주영▼t일본 근대 문학에 있어서의 '여성'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7001 ▼a황호덕▼t천황제 일본 국가에 있어서의 증여의 사상
■7001 ▼a김경호▼t정보지식으로서의 일본어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0864503
■9500 ▼b\30,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התיקיה של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