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최근 10년간 여성정책 평가와 향후 정책과제
최근 10년간 여성정책 평가와 향후 정책과제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84914766 93330 : \10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요약문언어 - eng
- DDC
- 305.4/095195-20
- 청구기호
- 305.4 김88ㅊ
- 저자명
- 김태홍 , 1960-
- 서명/저자
- 최근 10년간 여성정책 평가와 향후 정책과제 / 김태홍 연구책임 ; 장혜경 ; 황정임 ; 배호중 공동연구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xvii, 197 p. : 삽화 ; 25 cm
- 총서명
- 2012 연구보고서(수시과제) ; 1
- 주기사항
- Abstract: The evaluation on recent women's policy and new government's strategic tasks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191-197
- 기타저자
- 장혜경 , 1958-
- 기타저자
- 황정임
- 기타저자
- 배호중
- 기타저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기타서명
- Evaluation on recent women's policy and new government's strategic tasks
- 통일총서명
- 연구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수시과제 ; 2012-1
- 기타서명
- 최근 십년간 여성정책 평가와 향후 정책과제
- 가격
- \10000
- Control Number
- joongbu:416813
- 책소개
-
지난 10년간 여성과 관련된 사회·경제·정치 환경의 변화로 인해서 여성정책과 이슈들이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특히 참여정부와 MB정부에서는 여성정책을 추진하는 행정조직과 각 정부부처의 여성관련 정책이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향후 우리 사회는 저출산·고령화 진전으로 인한 출산율 제고와 노동력 부족에 따른 성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여성인적자원의 활용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뿐만 아니라 고령여성인구의 증가로 인해서 돌봄서비스 증가, 보건 및 의료서비스, 문화 및 여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먼저 현행 및 향후 여성관련 사회, 경제 환경 등을 분석하였다. 차기 정부가 역점을 두고 수행해야 할 주요 여성정책의 제(agenda)에 대한 세부 정책과제를 개발하였다.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