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영화 이론 : 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
영화 이론 : 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6800261 93680 : \28,000
- DDC
- 791.4301-20
- 청구기호
- 791.4301 E49f윤
- 서명/저자
- 영화 이론 : 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 / 토마스 엘새서 ; 말테 하게너 ; 윤종욱
- 발행사항
-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형태사항
- 367 p. : 삽도, 사진 ; 22 cm
- 주기사항
- 색인 : p. 356-367
- 주기사항
- 원저자명: Elsaesser, Thomas
- 주기사항
- 원저자명: Hagener, Malte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 338-347
- 원저자/원서명
- Filmtheorie zur Einführung
- 기타저자
- Hagener, Malte
- 기타저자
- 윤종욱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기타저자
- 엘새서, 토마스
- 기타저자
- 하게너, 말테
- Control Number
- joongbu:414571
- 책소개
-
2007년 출간 당시부터 독일 영화학계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영화 이론 입문서. 이 책은 영화 이론의 역사를 개괄하지만, 기존의 책들과는 달리 연대기순으로 집필하거나 학파를 중심으로 이론을 소개하지 않고, 영화와 관객의 관계, 인간의 감각과 영화 이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론을 재편했다. 영화, 지각, 인간의 육체는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가? 한 가지 핵심 질문을 통해 영화, 지각, 육체의 상호 관련성을 독창적이고 논리적으로 규정한다.
저자들은 영화에 묘사된 육체와 객체 사이의, 그리고 영화와 관객 사이의 시공간적 관계를 이론적으로 새롭게 규정하기 위해 7개의 개념쌍을 설정한다. 창과 틀, 문과 스크린, 거울과 얼굴, 눈과 시선, 피부와 접촉, 귀와 공간, 뇌와 정신을 중심으로 개별 장들이 전개된다. 각 장은 핵심 개념을 잘 드러내는 영화 장면에서 시작하고, 이어서 학파와 개념, 이론가를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