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법질서와 법해석론
한국 법질서와 법해석론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84114098 93360 : \36000
- DDC
- 340.1-20
- 청구기호
- 340.1 김25ㅎ
- 저자명
- 김도균
- 서명/저자
- 한국 법질서와 법해석론 / 김도균 엮음
- 발행사항
- 서울 : 세창출판사, 2013
- 형태사항
- iii, 688 p. ; 26 cm
- 총서명
- 법철학연구 총서 ; 1
- 내용주기
- 한국에서의 법령해석: 우리나라 법원의 해석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오세혁. - 문언중심적 법해석론 비판 최봉철. - 법률의 문언을 넘은 해석과 법률의 문언에 반하는 해석 박철. - 법적 추론의 기능에 대한 고찰 김혁기. - ‘법문의 가능한 의미’의 실재론적 의의 안성조. - 수사학적 법이론의 관점에서 본 법적 논증의 구조 이계일. - 법적 논증의 기초: 대법원 판결과 페렐만의 신수사학 하재홍. - 우리 대법원 법해석론의 전환: 로널드 드워킨의 눈으로 읽기: 법의 통일성(Law’s Integrity)을 향하여 김도균. - 제도적 자연법과 법의 해석 오병선. - 법학방법론의 관점에서 본 유추와 목적론적 축소 김영환. - 유추의 구조와 유추금지 김성룡. - 민법에서의 유추와 해석: 판례를 거울삼아 최봉경. - 형법해석의 한계와 법방법론 김대휘. - 형법학의 기능적 해석방법에 관하여 김호기. - 행정법 해석의 원리와 해석상의 제 문제 김유환. - 표현의 자유에 관한 미국 판례의 법철학적 성찰: Mill과 Holmes를 중심으로 김재원. - 헌법판례에 나타난 법적 논증의 구조적 · 비판적 분석: 간통죄의 위헌여부에 관한 헌법판례(89헌마82)를 중심으로 김정오. - 이익형량에 대한 환원주의적인 접근의 사례: 미국의 단계심사와 한국의 과잉금지원칙 박경신. - 연명치료중단에서 이익형량의 구조와 내용 고봉진. - 최고법원 판결에서의 법철학적 정당화와 법이념의 갈등조정: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를 중심으로 오병선. - 한국 최고법원 판결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여성 당사자 사건을 중심으로 오정진. - 수도-서울 명제의 ‘관습헌법’ 성립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양선숙. - 헌법재판의 법이론적 전망 이상돈
- 기타저자
- 오세혁
- 기타저자
- 최봉철
- 기타저자
- 박철
- 기타저자
- 김혁기
- 기타저자
- 안성조
- 기타저자
- 이계일
- 기타저자
- 하재홍
- 기타저자
- 오병선
- 기타저자
- 김영환
- 기타저자
- 김성룡
- 기타저자
- 최봉경
- 기타저자
- 김대휘
- 기타저자
- 김호기
- 기타저자
- 김유환
- 기타저자
- 김재원
- 기타저자
- 김정오
- 기타저자
- 박경신
- 기타저자
- 고봉진
- 기타저자
- 오정진
- 기타저자
- 양선숙
- 기타저자
- 이상돈
- 기타서명
- 한국에서의 법령해석: 우리나라 법원의 해석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 기타서명
- 문언중심적 법해석론 비판
- 기타서명
- 법률의 문언을 넘은 해석과 법률의 문언에 반하는 해석
- 기타서명
- 법적 추론의 기능에 대한 고찰
- 기타서명
- ‘법문의 가능한 의미’의 실재론적 의의
- 기타서명
- 수사학적 법이론의 관점에서 본 법적 논증의 구조
- 기타서명
- 법적 논증의 기초: 대법원 판결과 페렐만의 신수사학
- 기타서명
- 우리 대법원 법해석론의 전환: 로널드 드워킨의 눈으로 읽기: 법의 통일성(Law’s Integrity)을 향하여
- 기타서명
- 제도적 자연법과 법의 해석
- 기타서명
- 법학방법론의 관점에서 본 유추와 목적론적 축소
- 기타서명
- 유추의 구조와 유추금지
- 기타서명
- 민법에서의 유추와 해석: 판례를 거울삼아
- 기타서명
- 형법해석의 한계와 법방법론
- 기타서명
- 형법학의 기능적 해석방법에 관하여
- 기타서명
- 행정법 해석의 원리와 해석상의 제 문제
- 기타서명
- 표현의 자유에 관한 미국 판례의 법철학적 성찰: Mill과 Holmes를 중심으로
- 기타서명
- 헌법판례에 나타난 법적 논증의 구조적 · 비판적 분석: 간통죄의 위헌여부에 관한 헌법판례(89헌마82)를 중심으로
- 기타서명
- 이익형량에 대한 환원주의적인 접근의 사례: 미국의 단계심사와 한국의 과잉금지원칙
- 기타서명
- 연명치료중단에서 이익형량의 구조와 내용
- 기타서명
- 최고법원 판결에서의 법철학적 정당화와 법이념의 갈등조정: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를 중심으로
- 기타서명
- 한국 최고법원 판결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여성 당사자 사건을 중심으로
- 기타서명
- 수도-서울 명제의 ‘관습헌법’ 성립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기타서명
- 헌법재판의 법이론적 전망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Control Number
- joongbu:412722
- 책소개
-
『한국 법질서와 법해석론』은 법해석방법론 관련 논문들을 정리하여 수록한 책이다. 법해석의 일반적인 쟁점, 국내 법해석론의 동향, 유추의 문제, 실정법 영역에서의 법해석 및 법적 추론 쟁점, 우리 최고법원의 법적 추론에 대한 비판과 전망으로 표제화하여 각 논물을 주제별로 배열했다.
MARC
008131001s2013 ulk 000c kor■020 ▼a9788984114098▼g93360▼c\36000
■035 ▼a(KERIS)BIB000013156458
■082 ▼a340.1▼220
■090 ▼a340.1▼b김25ㅎ
■1001 ▼a김도균
■24500▼a한국 법질서와 법해석론▼d김도균 엮음
■260 ▼a서울▼b세창출판사▼c2013
■300 ▼aiii, 688 p.▼c26 cm
■44000▼a법철학연구 총서▼v1
■50502▼t한국에서의 법령해석: 우리나라 법원의 해석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d오세혁. - ▼t문언중심적 법해석론 비판▼d최봉철. - ▼t법률의 문언을 넘은 해석과 법률의 문언에 반하는 해석▼d박철. - ▼t법적 추론의 기능에 대한 고찰▼d김혁기. - ▼t‘법문의 가능한 의미’의 실재론적 의의▼d안성조. - ▼t수사학적 법이론의 관점에서 본 법적 논증의 구조▼d이계일. - ▼t법적 논증의 기초: 대법원 판결과 페렐만의 신수사학▼d하재홍. - ▼t우리 대법원 법해석론의 전환: 로널드 드워킨의 눈으로 읽기: 법의 통일성(Law’s Integrity)을 향하여▼d김도균. - ▼t제도적 자연법과 법의 해석▼d오병선. - ▼t법학방법론의 관점에서 본 유추와 목적론적 축소▼d김영환. - ▼t유추의 구조와 유추금지▼d김성룡. - ▼t민법에서의 유추와 해석: 판례를 거울삼아▼d최봉경. - ▼t형법해석의 한계와 법방법론▼d김대휘. - ▼t형법학의 기능적 해석방법에 관하여▼d김호기. - ▼t행정법 해석의 원리와 해석상의 제 문제▼d김유환. - ▼t표현의 자유에 관한 미국 판례의 법철학적 성찰: Mill과 Holmes를 중심으로▼d김재원. - ▼t헌법판례에 나타난 법적 논증의 구조적 · 비판적 분석: 간통죄의 위헌여부에 관한 헌법판례(89헌마82)를 중심으로▼d김정오. - ▼t이익형량에 대한 환원주의적인 접근의 사례: 미국의 단계심사와 한국의 과잉금지원칙▼d박경신. - ▼t연명치료중단에서 이익형량의 구조와 내용▼d고봉진. - ▼t최고법원 판결에서의 법철학적 정당화와 법이념의 갈등조정: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를 중심으로▼d오병선. - ▼t한국 최고법원 판결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여성 당사자 사건을 중심으로▼d오정진. - ▼t수도-서울 명제의 ‘관습헌법’ 성립에 대한 비판적 검토▼d양선숙. - ▼t헌법재판의 법이론적 전망▼d이상돈
■7001 ▼a오세혁
■7001 ▼a최봉철
■7001 ▼a박철
■7001 ▼a김혁기
■7001 ▼a안성조
■7001 ▼a이계일
■7001 ▼a하재홍
■7001 ▼a오병선
■7001 ▼a김영환
■7001 ▼a김성룡
■7001 ▼a최봉경
■7001 ▼a김대휘
■7001 ▼a김호기
■7001 ▼a김유환
■7001 ▼a김재원
■7001 ▼a김정오
■7001 ▼a박경신
■7001 ▼a고봉진
■7001 ▼a오정진
■7001 ▼a양선숙
■7001 ▼a이상돈
■740 0▼a한국에서의 법령해석: 우리나라 법원의 해석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740 0▼t문언중심적 법해석론 비판
■740 0▼t법률의 문언을 넘은 해석과 법률의 문언에 반하는 해석
■740 0▼t법적 추론의 기능에 대한 고찰
■740 0▼t‘법문의 가능한 의미’의 실재론적 의의
■740 0▼t수사학적 법이론의 관점에서 본 법적 논증의 구조
■740 0▼t법적 논증의 기초: 대법원 판결과 페렐만의 신수사학
■740 0▼t우리 대법원 법해석론의 전환: 로널드 드워킨의 눈으로 읽기: 법의 통일성(Law’s Integrity)을 향하여
■740 0▼t제도적 자연법과 법의 해석
■740 0▼t법학방법론의 관점에서 본 유추와 목적론적 축소
■740 0▼t유추의 구조와 유추금지
■740 0▼t민법에서의 유추와 해석: 판례를 거울삼아
■740 0▼t형법해석의 한계와 법방법론
■740 0▼t형법학의 기능적 해석방법에 관하여
■740 0▼t행정법 해석의 원리와 해석상의 제 문제
■740 0▼t표현의 자유에 관한 미국 판례의 법철학적 성찰: Mill과 Holmes를 중심으로
■740 0▼t헌법판례에 나타난 법적 논증의 구조적 · 비판적 분석: 간통죄의 위헌여부에 관한 헌법판례(89헌마82)를 중심으로
■740 0▼t이익형량에 대한 환원주의적인 접근의 사례: 미국의 단계심사와 한국의 과잉금지원칙
■740 0▼t연명치료중단에서 이익형량의 구조와 내용
■740 0▼t최고법원 판결에서의 법철학적 정당화와 법이념의 갈등조정: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를 중심으로
■740 0▼t한국 최고법원 판결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여성 당사자 사건을 중심으로
■740 0▼t수도-서울 명제의 ‘관습헌법’ 성립에 대한 비판적 검토
■740 0▼t헌법재판의 법이론적 전망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3156458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Buch Status
- Reservierung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eine Mappe
Registrierungsnummer | callnumber | Standort | Verkehr Status | Verkehr Info |
---|---|---|---|---|
EM0237975 | 340.1 김25ㅎ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237976 | 340.1 김25ㅎ c.2 |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4호)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Kredite nur für Ihre Daten gebucht werden. Wenn Sie buchen möchten Reservierungen, klicken Sie auf den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