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국역) 덕봉집
(국역) 덕봉집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3810713 93150 : \15,000
- DDC
- 811.0819-20
- 청구기호
- 811.0819 송24ㄷ
- 저자명
- 송덕봉
- 서명/저자
- (국역) 덕봉집 / [송덕봉 원저] ; 문희순 ; 안동교 ; 오석환 번역
- 발행사항
- 광주 : 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125, 56 p. : 부분채색삽도 ; 23 cm
- 총서명
- 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 국역총서 ; 1
- 주기사항
- 부록:1. 세계(世界). - 2. 『미암집』에서 뽑다. - 3. 여러학자들의 기록과 서술
- 주기사항
- 편찬: 안동교
- 주기사항
- 해제: 문희순
- 원저자/원서명
- 德峰集
- 주제명-개인
- 송덕봉 , 1521-1578
- 기타저자
- 안동교
- 기타저자
- 문희순
- 기타저자
- 안동교
- 기타저자
- 오석환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15000
- Control Number
- joongbu:409043
- 책소개
-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문집. 조선중기 홍주송씨(洪州宋氏) 가문의 송덕봉(宋德峰 1521~1577)은 1571년 3월, 그녀가 51세 때 남편인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1513~1577)으로부터 필사본 시문집을 선물 받았다. 시기상으로 보면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문집이라 할 만하다.
그녀는 자신의 문집을 보고 “매우 기쁘고, 더욱이 시가 영원토록 없어지지 않고 전해질 수 있게 되어 희비가 엇갈린다.”고 말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 시문집은 분실되어 후세에 전하지 않는다. ‘총명하고 민첩하며 경서와 역사서를 두루 섭렵한 여성 선비’로 이름났던 송덕봉의 현존 시문을 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에서 수습하여 작성연대에 맞게 편집하고, 『미암집』과 『미암일기』에서 덕봉 사실을 발췌하여 넣은 뒤, 덕봉의 「세계(世系)」와 「제가기술(諸家記述)」까지 추가하여 『덕봉집』으로 편찬, 역주한 것이다.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