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조선 궁궐의 그림
조선 궁궐의 그림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71994870 04900 : \33000
- ISBN
- 9788971994214(세트)
- DDC
- 759.11-20
- 청구기호
- 759.11 박74ㅈ
- 저자명
- 박정혜
- 서명/저자
- 조선 궁궐의 그림 / 박정혜 [외]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돌베개, 2012
- 형태사항
- 445 p. : 일부채색삽도 ; 23 cm
- 총서명
- 왕실문화총서 ; 04
- 총서명
- 조선시대 궁중회화 ; 2
- 주기사항
- 찾아보기: p. 438-445
- 주기사항
- 공지은이: 황정연, 강민기, 윤진영
- 주기사항
- 부록: 도판목록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423-428
- 서지주기
- 주: p. 408-422
- 기금정보
- 이 도서는 2007년도 정부재원(교육인적자원부 학술연구조성사업비)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기타저자
- 황정연
- 기타저자
- 강민기
- 기타저자
- 윤진영
- Control Number
- joongbu:391277
- 책소개
-
왕실문화총서 시리즈 4권. 조선시대 왕실에서 궁궐의 실내를 장식하고 의례 공간을 장엄했던 궁중 장식화와, 왕족과 신료 등 왕실 구성원들이 개인적인 수신과 취미를 위해 제작하고 향유했던 궁중 감상화를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왕실의 드높은 권위와 다양한 길상.의례의 상징을 담고 있는 궁궐의 그림들을 통해, 화려하고 장엄한 궁중문화의 일면과 조선시대 최고의 회화예술을 만나게 된다.
제1부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장식병풍을 유래와 상징 의미, 기능과 쓰임, 유형과 양식 변화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궁궐 감상화의 주제는 크게 교화와 치도를 위한 그림, 왕조의 개창과 번영이 담긴 그림, 군.신의 덕목을 상징한 그림, 순수 감상용 그림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제2부에서는 이들 주제를 중심으로 궁중에서 소용된 감상화를 살펴본다.
제3부에서는 궁궐 장식화를 좀 더 건축적인 시각에서 접근한다. 즉 궁궐 정전 어좌의 당가와 보개천장, 궁궐 전각의 문을 장식하는 장식 창호, 목조 건물을 보호하고 치장하는 단청, 궁궐 내외 벽에 그려진 벽화를 다룬다. 제4부에서는 궁궐의 장식화가 궁 밖으로 전해져 민간 그림에 영향을 준 경로에 대해 알아본다.
MARC
008121005s2012 ggka 001c kor■020 ▼a9788971994870▼g04900▼c\33000
■020 ▼a9788971994214(세트)
■035 ▼a(KERIS)BIB000012794130
■082 ▼a759.11▼220
■090 ▼a759.11▼b박74ㅈ
■1001 ▼a박정혜▼h(朴廷惠)
■24500▼a조선 궁궐의 그림▼d박정혜 [외]지음
■260 ▼a파주▼b돌베개▼c2012
■300 ▼a445 p.▼b일부채색삽도▼c23 cm
■44000▼a왕실문화총서▼v04
■44000▼a조선시대 궁중회화▼v2
■50000▼a찾아보기: p. 438-445
■50000▼a공지은이: 황정연, 강민기, 윤진영
■50000▼a부록: 도판목록
■504 ▼a참고문헌: p. 423-428
■504 ▼a주: p. 408-422
■536 ▼a이 도서는 2007년도 정부재원(교육인적자원부 학술연구조성사업비)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653 ▼a한국그림▼a한국회화▼a한국화▼a조선시대▼a궁중회화▼a궁중장식화▼a궁중감상화
■7001 ▼a황정연▼h(黃晶淵)
■7001 ▼a강민기▼h(姜玟奇)
■7001 ▼a윤진영▼h(尹軫暎)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