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新羅의 建國과 社會史 硏究
新羅의 建國과 社會史 硏究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8988435303 93910 : \14000
- 기타분류
- 951.34
- 청구기호
- 951.34 백52ㅅ
- 단체저자
- 백산학회
- 서명/저자
- 新羅의 建國과 社會史 硏究 / 백산학회 편.
- 발행사항
- 서울 : 백산자료원, 2000.
- 형태사항
- 445 p. : 地圖, 寫眞 ; 23cm.
- 주기사항
- 백산학보(52호)에 게재된 논문을 분류하여『新羅의 建國과 社會史 硏究』와 『統一新羅의 對外關係와 思想硏究』으로 간행한것임.
- 내용주기
- 완전내용신라의 시조와 태조 / 이종태 -- 고신라 금석문에 있어서 部名의 사용 시기 / 김창호 -- 신라상대의 佛寺造營과 그 사회·경제적 기반 / 이인철 -- 고신라기 鎭護寺刹의 기능 확대 과정 / 이도학 -- 단양지역 고대 산성의 분포와 특징 : 신라북진정책의 거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 순흥 읍내리벽화고분의 신라사적 의의 / 정운룡 -- 신라와 백제의 管山城 전투 / 김갑동 -- 진평왕 말기의 정국과 선덕왕의 즉위 / 이정숙 -- 신라 中古期 舍輪系의 정치활동 / 김덕원 -- 弑王說과 선덕여왕 / 문경현 -- 삼국시대 小部隊 리더의 가치관과 전투에서의 역할 : 신라 삼국통일의 정신적 기반을 중심으로 / 허중권 -- 신라의 宗廟와 명산대천의 제사 / 김두진 -- 『天地瑞祥志』편찬자에 대한 새로운 시각 : 일본에 전래된 신라 전문지리서의 一例 / 권덕영 -- 신라 및 통일신라시대의 혼인 풍속 / 강성원 -- 『삼국사기』에 나타난 신라 무용기사의 성격 / 이종숙 -- 入唐求法僧 地藏의 행적과 사상 / 여성구.
- 기타저자
- 이종태 ; 신라의 시조와 태조
- 기타저자
- 김창호 ; 고신라 금석문에 있어서 부명의 사용 시기
- 기타저자
- 이인철 ; 신라상대의 불사조영과 그 사회·경제적 기반
- 기타저자
- 이도학 ; 고신라기 진호사찰의 기능 확대 과정
- 기타저자
- 최근영 ; 단양지역 고대 산성의 분포와 특징 : 신라북진정책의 거점을 중심으로
- 기타저자
- 정운룡 ; 순흥 읍내리벽화고분의 신라사적 의의
- 기타저자
- 김갑동 ; 신라와 백제의 관산성 전투
- 기타저자
- 이정숙 ; 진평왕 말기의 정국과 선덕왕의 즉위
- 기타저자
- 김덕원 ; 신라 중고기 사륜계의 정치활동
- 기타저자
- 문경현 ; 시왕설과 선덕여왕
- 기타저자
- 허중권 ; 삼국시대 소부대 리더의 가치관과 전투에서의 역할 : 신라 삼국통일의 정신적 기반을 중심으로
- 기타저자
- 김두진 ; 신라의 종묘와 명산대천의 제사
- 기타저자
- 권덕영 ; 『천지서상지』편찬자에 대한 새로운 시각 : 일본에 전래된 신라 전문지리서의 일례
- 기타저자
- 강성원 ; 신라 및 통일신라시대의 혼인 풍속
- 기타저자
- 이종숙 ; 『삼국사기』에 나타난 신라 무용기사의 성격
- 기타저자
- 여성구 ; 입당구법승 지장의 행적과 사상
- 기타서명
- 통일신라의 대외관계와 사상연구
- Control Number
- joongbu:247698
MARC
008051014s2000 ulkbo 000a kor■020 ▼a8988435303▼g93910▼c\14000
■035 ▼aKRIC07897424
■085 ▼a951.34
■090 ▼a951.34▼b백52ㅅ
■110 ▼a백산학회
■24510▼a新羅의 建國과 社會史 硏究▼d백산학회 편.
■260 ▼a서울▼b백산자료원▼c2000.
■300 ▼a445 p.▼b地圖, 寫眞▼c23cm.
■50000▼a백산학보(52호)에 게재된 논문을 분류하여『新羅의 建國과 社會史 硏究』와 『統一新羅의 對外關係와 思想硏究』으로 간행한것임.
■505 ▼a신라의 시조와 태조 / 이종태 -- 고신라 금석문에 있어서 部名의 사용 시기 / 김창호 -- 신라상대의 佛寺造營과 그 사회·경제적 기반 / 이인철 -- 고신라기 鎭護寺刹의 기능 확대 과정 / 이도학 -- 단양지역 고대 산성의 분포와 특징 : 신라북진정책의 거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 순흥 읍내리벽화고분의 신라사적 의의 / 정운룡 -- 신라와 백제의 管山城 전투 / 김갑동 -- 진평왕 말기의 정국과 선덕왕의 즉위 / 이정숙 -- 신라 中古期 舍輪系의 정치활동 / 김덕원 -- 弑王說과 선덕여왕 / 문경현 -- 삼국시대 小部隊 리더의 가치관과 전투에서의 역할 : 신라 삼국통일의 정신적 기반을 중심으로 / 허중권 -- 신라의 宗廟와 명산대천의 제사 / 김두진 -- 『天地瑞祥志』편찬자에 대한 새로운 시각 : 일본에 전래된 신라 전문지리서의 一例 / 권덕영 -- 신라 및 통일신라시대의 혼인 풍속 / 강성원 -- 『삼국사기』에 나타난 신라 무용기사의 성격 / 이종숙 -- 入唐求法僧 地藏의 행적과 사상 / 여성구.
■7001 ▼a이종태▼t신라의 시조와 태조
■7001 ▼a김창호▼t고신라 금석문에 있어서 부명의 사용 시기
■7001 ▼a이인철▼t신라상대의 불사조영과 그 사회·경제적 기반
■7001 ▼a이도학▼t고신라기 진호사찰의 기능 확대 과정
■7001 ▼a최근영▼t단양지역 고대 산성의 분포와 특징 : 신라북진정책의 거점을 중심으로
■7001 ▼a정운룡▼t순흥 읍내리벽화고분의 신라사적 의의
■7001 ▼a김갑동▼t신라와 백제의 관산성 전투
■7001 ▼a이정숙▼t진평왕 말기의 정국과 선덕왕의 즉위
■7001 ▼a김덕원▼t신라 중고기 사륜계의 정치활동
■7001 ▼a문경현▼t시왕설과 선덕여왕
■7001 ▼a허중권▼t삼국시대 소부대 리더의 가치관과 전투에서의 역할 : 신라 삼국통일의 정신적 기반을 중심으로
■7001 ▼a김두진▼t신라의 종묘와 명산대천의 제사
■7001 ▼a권덕영▼t『천지서상지』편찬자에 대한 새로운 시각 : 일본에 전래된 신라 전문지리서의 일례
■7001 ▼a강성원▼t신라 및 통일신라시대의 혼인 풍속
■7001 ▼a이종숙▼t『삼국사기』에 나타난 신라 무용기사의 성격
■7001 ▼a여성구▼t입당구법승 지장의 행적과 사상
■740 0▼a통일신라의 대외관계와 사상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