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바른한국, 이렇게 만들자 : 시민회의가 제시하는 노무현 정부의 개혁과제
바른한국, 이렇게 만들자 : 시민회의가 제시하는 노무현 정부의 개혁과제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893003960X 94350 : \28000
- DDC
- 303.40951-21
- 청구기호
- 350.000951 바29ㅂ
- 단체저자
- 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 서명/저자
- 바른한국, 이렇게 만들자 : 시민회의가 제시하는 노무현 정부의 개혁과제 / 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편].
- 발행사항
- 서울 : 나남, 2002.
- 형태사항
- 677 p. : 삽도 ; 23cm.
- 총서명
- 나남신서 ; 960
- 내용주기
- 완전내용정부조직개편 연구/김동욱. - 정부산하기관 개혁평가와 과제/김병섭. - 지방행정조직의 개혁방안/김순은. - 정부의 소프트웨어 개혁/김판석. - 정부조직?b편과 관리혁신에 관한 심포지엄/김태룡. - 새 정부 조직개편과 운영의 방향/남궁근. - 정부의 소프트웨어 개혁/유민봉. - 신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서재진. - 새 정부의 남북 경제교류 협력의 추진방향과 과제/이상만. - 새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한 핵문제 해결방향/제성호. - 노무현정부의 대미외교를 중심으로 한 주변 4강 외교방안/홍현익. - 국가재정의 정책과제와 안정화방안/김용하. - 재벌개혁의 현황과 시사점/이주선. - 시장친화적 기업구조조정/조동근. - 신 정부의 통상정책/최병일. 기업구조조정과 재벌정책/김종석.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정부-한국?/박동운. - 한국은 기업하기 힘든 나라/박동운. - 새정부의 경제정책 과제/박영규. - 재벌개혁에 대한 토론/안재욱. - 현 교육문제와 개혁의 방향/권대봉. - 현 정부의 여성복지정책의 현황과 미래의 과제/송영인. - 사회통합과 신 성장을 위한 노동정책/이원덕. - 노동, 여성, 부정부패/정용택. - 신정부 노동정책의 성공조건/김태기. -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교육정책 공약을 중심으로/남승희. - 차기 정부 정책과제, 현 교육문제와 개혁방향/박병영. - 국가권력구조개편의 방향/강경근. - 바람직한 정당 개혁의 방안/강원택. - 정치자금과 투명한 정치/임성학. - 선거제도와 올바른 민의 반영/장영수.
- 기타저자
- 김동욱 ; 정부조직개편 연구
- 기타저자
- 김병섭 ; 정부산하기관 개혁평가와 과제
- 기타저자
- 김순은 ; 지방행정조직의 개혁방안
- 기타저자
- 김판석 ; 정부의 소프트웨어 개혁
- 기타저자
- 김태룡 ; 정부조직개편과 관리혁신에 관한 심포지엄
- 기타저자
- 남궁근 ; 새 정부 조직개편과 운영의 방향
- 기타저자
- 유민봉 ; 정부의 소프트웨어 개혁
- 기타저자
- 서재진 ; 신정부의 대북정책 방향
- 기타저자
- 이상만 ; 새 정부의 남북 경제교류 협력의 추진방향과 과제
- 기타저자
- 제성호 ; 새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한 핵문제 해결방향
- 기타저자
- 홍현익 ; 노무현정부의 대미외교를 중심으로 한 주변 4강 외교방안
- 기타저자
- 김용하 ; 국가재정의 정책과제와 안정화방안
- 기타저자
- 이주선 ; 재벌개혁의 현황과 시사점
- 기타저자
- 조동근 ; 시장친화적 기업구조조정
- 기타저자
- 최병일 ; 신 정부의 통상정책
- 기타저자
- 김종석 ; 기업구조조정과 재벌정책
- 기타저자
- 박동운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정부-한국?
- 기타저자
- 박동운 ; 한국은 기업하기 힘든 나라
- 기타저자
- 박영규 ; 새정부의 경제정책 과제
- 기타저자
- 안재욱 ; 재벌개혁에 대한 토론
- 기타저자
- 권대봉 ; 현 교육문제와 개혁의 방향
- 기타저자
- 송영인 ; 현 정부의 여성복지정책의 현황과 미래의 과제
- 기타저자
- 이원덕 ; 사회통합과 신 성장을 위한 노동정책
- 기타저자
- 정용택 ; 노동, 여성, 부정부패
- 기타저자
- 김태기 ; 신정부 노동정책의 성공조건
- 기타저자
- 남승희 ;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교육정책 공약을 중심으로
- 기타저자
- 박병영 ; 차기 정부 정책과제, 현 교육문제와 개혁방향
- 기타저자
- 강경근 ; 국가권력구조개편의 방향
- 기타저자
- 강원택 ; 바람직한 정당 개혁의 방안
- 기타저자
- 임성학 ; 정치자금과 투명한 정치
- 기타저자
- 장영수 ; 선거제도와 올바른 민의 반영
- Control Number
- joongbu:229125
MARC
008040803s2002 ulka 000a kor■020 ▼a893003960X▼g94350▼c\28000
■035 ▼aKRIC08613789
■040 ▼a221016 ▼d221016 ▼d221016
■082 ▼a303.40951▼221
■090 ▼a350.000951▼b바29ㅂ
■110 ▼a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24510▼a바른한국, 이렇게 만들자▼b시민회의가 제시하는 노무현 정부의 개혁과제▼d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편].
■260 ▼a서울▼b나남▼c2002.
■300 ▼a677 p.▼b삽도▼c23cm.
■44000▼a나남신서▼v960
■505 ▼a정부조직개편 연구/김동욱. - 정부산하기관 개혁평가와 과제/김병섭. - 지방행정조직의 개혁방안/김순은. - 정부의 소프트웨어 개혁/김판석. - 정부조직?b편과 관리혁신에 관한 심포지엄/김태룡. - 새 정부 조직개편과 운영의 방향/남궁근. - 정부의 소프트웨어 개혁/유민봉. - 신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서재진. - 새 정부의 남북 경제교류 협력의 추진방향과 과제/이상만. - 새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한 핵문제 해결방향/제성호. - 노무현정부의 대미외교를 중심으로 한 주변 4강 외교방안/홍현익. - 국가재정의 정책과제와 안정화방안/김용하. - 재벌개혁의 현황과 시사점/이주선. - 시장친화적 기업구조조정/조동근. - 신 정부의 통상정책/최병일. 기업구조조정과 재벌정책/김종석.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정부-한국?/박동운. - 한국은 기업하기 힘든 나라/박동운. - 새정부의 경제정책 과제/박영규. - 재벌개혁에 대한 토론/안재욱. - 현 교육문제와 개혁의 방향/권대봉. - 현 정부의 여성복지정책의 현황과 미래의 과제/송영인. - 사회통합과 신 성장을 위한 노동정책/이원덕. - 노동, 여성, 부정부패/정용택. - 신정부 노동정책의 성공조건/김태기. -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교육정책 공약을 중심으로/남승희. - 차기 정부 정책과제, 현 교육문제와 개혁방향/박병영. - 국가권력구조개편의 방향/강경근. - 바람직한 정당 개혁의 방안/강원택. - 정치자금과 투명한 정치/임성학. - 선거제도와 올바른 민의 반영/장영수.
■7001 ▼a김동욱▼t정부조직개편 연구
■7001 ▼a김병섭▼t정부산하기관 개혁평가와 과제
■7001 ▼a김순은▼t지방행정조직의 개혁방안
■7001 ▼a김판석▼t정부의 소프트웨어 개혁
■7001 ▼a김태룡▼t정부조직개편과 관리혁신에 관한 심포지엄
■7001 ▼a남궁근▼t새 정부 조직개편과 운영의 방향
■7001 ▼a유민봉▼t정부의 소프트웨어 개혁
■7001 ▼a서재진▼t신정부의 대북정책 방향
■7001 ▼a이상만▼t새 정부의 남북 경제교류 협력의 추진방향과 과제
■7001 ▼a제성호▼t새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한 핵문제 해결방향
■7001 ▼a홍현익▼t노무현정부의 대미외교를 중심으로 한 주변 4강 외교방안
■7001 ▼a김용하▼t국가재정의 정책과제와 안정화방안
■7001 ▼a이주선▼t재벌개혁의 현황과 시사점
■7001 ▼a조동근▼t시장친화적 기업구조조정
■7001 ▼a최병일▼t신 정부의 통상정책
■7001 ▼a김종석▼t기업구조조정과 재벌정책
■7001 ▼a박동운▼t세계에서 가장 작은 정부-한국?
■7001 ▼a박동운▼t한국은 기업하기 힘든 나라
■7001 ▼a박영규▼t새정부의 경제정책 과제
■7001 ▼a안재욱▼t재벌개혁에 대한 토론
■7001 ▼a권대봉▼t현 교육문제와 개혁의 방향
■7001 ▼a송영인▼t현 정부의 여성복지정책의 현황과 미래의 과제
■7001 ▼a이원덕▼t사회통합과 신 성장을 위한 노동정책
■7001 ▼a정용택▼t노동, 여성, 부정부패
■7001 ▼a김태기▼t신정부 노동정책의 성공조건
■7001 ▼a남승희▼t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교육정책 공약을 중심으로
■7001 ▼a박병영▼t차기 정부 정책과제, 현 교육문제와 개혁방향
■7001 ▼a강경근▼t국가권력구조개편의 방향
■7001 ▼a강원택▼t바람직한 정당 개혁의 방안
■7001 ▼a임성학▼t정치자금과 투명한 정치
■7001 ▼a장영수▼t선거제도와 올바른 민의 반영